
충남 아산시의 일부 학교에서 학용품 구매 입찰을 지역 외로 확장하면서, 지역 상권 활성화를 외면하고 있다는 불만이 흘러나오고 있다.
29일 아산교육지원청과 지역 학용품 조달업체 등에 따르면, 학습준비물 무상지원이 실시된 이후로 학교별로 예술체험 및 과학프로그램 사용물품, 도서 등 학습준비물 구비 입찰을 실시하고 있다.
입찰규모는 학교 규모에 따라 600만 원~2600만 원까지 비교적 소액으로 이뤄지며, 입찰 발주 기관에서 참여지역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 지역 학교들은 지역 업체로 참여를 제한하고 있다.
소규모 액수라 입찰 단가 인하 폭이 적고, 조달 업체에 따라 질적 차이도 크지 않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지역상권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명분도 갖고 있다.
하지만 아산지역 학교들 중 일부 학교는 인근 천안까지 입찰대상 업체를 확대하면서 지역 상권에서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아산지역 학생들을 위해 구비하는 제품을 굳이 학생들의 학부모들이 운영하는 지역 업체를 외면한 채 외지에서 가져와야 하냐는 것.
실제, 올해 2월부터 8월까지 아산지역에서 이뤄진 학습 준비물 관련 입찰 19회 중 9회가 천안으로 참여지역을 확대해 실시했고 낙찰 받은 9곳 모두 천안지역 업체다. 반면, 천안지역의 학교에서 아산으로 지역을 확대한 경우는 없었다.
입찰 방식은 최저가가 아닌, 참여업체 신청가의 평균가로 정해진다. 천안지역 업체는 40여 곳, 10여 곳에 불과한 아산지역 업체와 경쟁을 벌이면 상대적으로 낙찰 가능성은 천안지역 업체로 기울 수밖에 없는 상황.
아산지역에서 10여년 째 학용품 조달업체를 운영하는 김모(43)씨는 “아산시 학교의 학부모는 아산시에 세금을 내고 있는데 왜 아산의 학교가 천안 업체에게 납품 기회를 주느냐”며 “예산이 크게 절약되는 것도, 기술력이나 학용품의 질적 차이가 나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 유독 몇몇 학교는 지속적으로 입찰을 천안까지 확대하고 있다”고 분개했다.
그는 또 “전국적으로 지역상권 살리기에 공공기관이 적극 나서고 있는데, 몇 차례나 민원을 제기해도 반복되고 있다”며 “교직원 중 천안에서 출퇴근하는 사람이 많아서 그런 건지, 지역상권 활성화에 관심이 없어서 그런 건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아산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 천안과 아산의 경계에 위치한 학교에서 특성상 이런 경우가 발생하는 것 같다”며 “최근 부득이한 상황이 아니면 아산지역으로만 입찰 참여를 제한할 것을 통보했다. 행정실장 협의회에서도 강조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