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대전청사내 통계청 공무원 노동조합이 황수경 전 통계청장 경질과 관련 "통계의 공정성과 중립성을 무너뜨리는 어리석은 조치"라고 반발, 통계청장 교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청와대는 앞서 야당의 공세에 대해 "황 전 청장의 교체는 2기 개각을 앞둔 정기인사의 일환일 뿐"이라고 해명하고 있으나, 향후 강신욱 신임 통계청장 체제 하에서 나오는 통계 지표에 대한 정치권의 불신은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국회에 출석해 답번하는 황수경 전 통계청장 [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8/6404_8872_2014.jpg)
통계청 공무원 노조는 지난 27일 내부게시판에 올린 성명서를 통해 "역대 그 어느 청장보다 통계의 중립을 지키기 위해, 조직의 수평적 문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을 아까지 않았던 황수경 청장이 갑자기 떠나갔다"며 전격적인 경질에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현 제도상 통계청장은 임기가 보장되지 않는 현실이지만 한국은행 총재처럼 정치적 중립성을 확고히 지켜줘야 할 자리임에도 아무런 이유 없이 경질됐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또 "촛불혁명을 바탕으로 공정과 정의를 바로 세우기 위해 탄생한 정부의 인사가 이 정도 수준밖에 되지 않는 건지, 참으로 참담하기 그지없다"며 "청와대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국민과 통계청 구성원 모두에게 납득 가능한 해명이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황 전 청장 논란의 시작은 통계청이 지난 17일 '2018년 7월 고용동향'을 발표하면서 부터다
통계청은 당시 7월 취업자가 2708만3000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5000명 이 늘었다고 밝혔다.
2010년 1월 마이너스 1만 명을 기록한 후 8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것이다.
이는 곧 야당의 ‘고용 쇼크’ 공세의 단초가 됐다.
지난 23일에는 또 '2018년 2분기 소득 부문 가계동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소득 최하위 20%(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상위 20%(5분위) 고소득층은 10.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면서 정부는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켰다는 비난에도 직면하게 됐다.
이후 정부 2기 개각에 따른 차관 인사에 황 전 청장의 교체가 확정되자 '정부 입맛에 맞지 않는 통계 발표로 경질 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져 나왔다.
야당의 이어진 질타속에 황 전 청장이 모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제가 그렇게 (청와대 등의) 말을 잘 들었던 편은 아니었다"라고 발언, 더욱 논란을 커졌다.
이에따라 통계청장 경질 논란이 향후 통계청의 통계 지표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노조는 성명서에서 "소득분배 및 고용악화 통계가 발표돼 논란이 되는 시점에서 단행된 이번 청장 교체는 앞으로 발표될 통계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담보하기 어렵게 됐다"고 우려했다.
민주평화당도 29일 김정현 대변인의 논평에서 "현재 기획재정부의 외청으로 있는 통계청의 독립을 논의하고 통계청장의 임기를 보장하는 한편 인사·재정권도 줘야한다"며 "그래야 통계청이 '정권 입맛에 맞는 통계'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