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기 제작연대, 제작지, 제작자 확인
백제~통일신라 시대 성벽, 와적기단 건물지, 집수시설 등도 확인


[충청헤럴드 부여=박종명 기자] 충남 부여 부소산성에서 645년 추정되는 '乙巳年' 글씨가 새겨진 토기 등 중요 유물이 출토됐다.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사적 제5호인 부여 부소산성 긴급 발굴조사에서 백제~통일신라 시대 성벽, 와적기단(瓦積基壇) 건물지, 집수시설을 비롯해 '을사년(乙巳年)', 북사(北舍)' 글씨가 새겨진 토기 등을 확인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8월 부소산성 내네 너비 1m, 깊이 0.8m의 재난 방재 관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성벽, 건물지, 추정 집수시설 등의 유구가 확인돼 실시됐다.


조사 결과 부소산성 내 평탄지가 존재하는 군창지 구간, 사자루 구간, 궁녀사 구간 등에서 백제시대 다양한 유구가 확인됐다. 군창지 구간에서는 백제 중요 유적에서 주로 확인되는 와적기단을 갖추고 둥근 모양으로 잘 다듬은 초석을 사용한 위계 높은 건물지가 발굴됐다.
사자구 구간에서는 백제~통일신라 시대 성벽, 굴립주 건물지, 사각의 초석을 사용한 건물지 등이, 궁녀사 구간에서는 집수시설이 확인됐다.
특히 궁녀사 구간 집수시설에서는 '을사년(乙巳年)', 북사(北舍)' 글씨가 새겨진 토기, 중국제 자기, 칠기 등 중요 유물과 수백 점이 넘는 백제 사비기 토기가 함께 매몰돼 있었다. 출토된 백제시대 토기는 완형에 가까운 기대, 보주형 뚜껑, 전달린토기 등의 비중이 높았다. 또 7세기 신라 병형토기도 출토됐다.
주요 출토 유물인 ‘乙巳年’ 명문 토기에는 ‘乙巳年三月十五日牟尸山菊作’(을사년삼월십오일모시산국작?)이라는 14자의 명문이 쓰여 있었다. 그 내용은 을사년 3월 15일 모시산 사람 국(菊)이 만들었다‘로 해석돼 토기의 제작 연대(645년 추정), 제작지(예산, 덕산 추정), 제작자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같이 출토된 ‘北舍’명 토기는 백제 사비왕궁지구인 관북리 유적, 익산의 왕궁리 유적, 익산토성과 같이 왕실과 관련 있는 중요 유적에서 출토된 바 있다. 조사 결과는 오는 11일 오전 10시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공개된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유구들은 부여 부소산성 내 백제∼통일신라 시대 성벽의 축조 방식과 부소산성 내부 공간의 활용 방식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부여 부소산성은 백제 사비도성의 배후산성과 왕궁성으로 추정되는 유적으로, 성의 둘레는 약 2200m이다. 지난 1980년부터∼2002년까지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연차 발굴조사를 진행해 백제~조선 시대에 축조한 성벽, 백제 시대 수혈 건물지(땅을 파고 조성한 건물지)와 목책열, 조선시대 군창지 등을 확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