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6.1 지방선거가 채 1년도 남지 않았다. 선출직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이번 7월 정기인사는 자신의 행정철학과 비전을 공유하는 '코드 인사'가 될 수 밖에 없다.
내년 시장 선거를 앞두고 자신과 손발을 맞출 측근들을 '대민 행정부서'에 대거 포진시키는 것은 뭐라 할 수 없다. 인사는 지방 행정수장의 몫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전시는 정기인사 시즌마다 정실인사나 회전문인사, 낙하산인사 등의 꼬리표가 따라 붙는다. 역대 시장들 중에는 잘못 꿴 인사 때문에 시민들의 불신을 초래하고, 시정까지 흔들리다 차기 선거에서 발등을 찍힌 사례도 있다.
허태정 대전시장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해 하반기 정기인사에서는 같은 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찬술 대전시의원(대덕2)이 인사 문제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핵심 키워드는 정무라인 작동 부재, 회전문인사, 낙하산인사 등이다.
사실 ‘코드 인사’는 마냥 비난할 이유가 없다. '승자독식'의 선출직 단체장이 자신과 함께 일할 사람들을 배치하는 것은 고유한 권한이다.
문제는 기준이다. 인사의 기준에는 대다수가 납득할 명분과 염치(廉恥)라는 것이 작용한다.
지난 16일 대전시가 발표한 '7월1일자 국.과장급 승진 및 전보 사전예고'는 벌써부터 뒷말이 무성하다. 그런데 이번에는 조금 다른 시선에서 불편한 말들이 오간다.
"A씨는 대전시의회 누군가가 뒤를 밀어주고 있다", "B씨는 부시장이 끌어주는 사람이다"라는 이야기가 나돈다. 인사권자인 허태정 시장의 권한을 옥죄는 '보이지 않는 힘'이 있다는 이야기다.
시청 직원들의 구설에 오르는 해당 국장들의 자질과 역량, 전문성은 다음 문제다.
이미 대전시청공무원노동조합이 지난 6월 10일자 성명을 통해 "대전광역시 의회는 시의 인사정책에 협의를 위장한 합의요구를 중단하라"며 "대전시는 외부세력의 인사개입 차단, 특정 인사 배제 등 인사혁신을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노동조합이 감시자의 눈을 자처하면서 허태정 시장의 하반기 인사에 '공정의 가치'와 '투명한 인사'에 힘을 실어줬지만 현실은 거꾸로다.
이번 인사 잡음은 내년 선거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년도 남지 않은 시장이 인사권도 마음껏 누리지 못하는데 상의하달의 조직 기강이 바로설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인사가 만사'라는 옛말을 허투루 들을 일이 아니다. 허태정 대전시장이 롱런하는 단체장이 되려면 자신만의 인사 기준을 지금이라도 바로 세울 때다.
권성하 편집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