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지역 내 3개 대학이 교육부의 대학기본역량진단 모의평가 결과, 재정지원제한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충청권 대학들은 또 향후 3년간 1천801명(3.2%)의 정원을 줄여야 한다. 지역별로는 대전이 426명(2.6%)을, 충남이 629명(2.7%), 충북은 746명(4.9%)을 각각 감축해야 한다.
6일 충청권 대학들에 따르면 오는 15일을 전후해 교육부의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에 대한 공식 발표에 앞서 충청지역 내 3개 대학이 재정지원제한 대상 꼽힐 전망이어서 대학가가 긴장하고 있다.
![충청지역내 3개 대학이 교육부의 대학기본역량진단 모의평가 결과, 재정지원제한대학에 선정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사진=충청헤럴드]](/news/photo/201806/4508_6199_2629.jpg)
대학교육연구소도 이날 전국 163개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학기본역량진단 정원 감축 모의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모의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충청권역 모두 31개 대학가운데 ▲자율개선대학은 23개 ▲역량강화대학은 5개 ▲재정지원제한대학은 3개가 선정될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개선대학' 선정 비율은 권역별로 충청권(74.2%)이 가장 높았고, 수도권(50.8%)이 가장 낮았다.
충청권 자율개선대학 중에는 ▲충청권 5개의 국공립대학교 가운데 4개 ▲사립은 26개 중 19개 등으로 전체 31개 대학 중 23개 대학(74.2%)이다.
정원감축이 대학 자율에 맡겨지는 자율개선대학 이외의 역량강화대학과 지원제한대학의 경우는 입학정원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또 역량강화 대학은 31개중 5개(16.1%) 대학, 재정지원제한대학은 3개(9.7%) 대학으로 나타났다.

학생정원 축소내용을 구체적으로 보면 ▲대전은 1만6천439명에서 1만6천13명으로 426명(2.6%)을, ▲충남은 2만3천731명에서 2만3천102명으로 629명(2.7%)을, ▲충북은 1만5천313명에서 1만4천567명으로 746명(4.9%)을 각각 줄여야 한다.
전문대의 경우 '강원·충청권'으로 평가가 실시돼 충청권은 총 25개 대학 중 자율개선 16개교(64%), 역량강화 6개교(24%), 지원제한 3개(12%)로 조사됐다.
충청·강원지역 전문대의 감축인원은 현 2만7천123명에서 2만6천376명으로 총 747명(2.8%)을 줄여야 한다.
대학 기본역량 진단 방안에 근거한 이번 모의평가 결과, 수도권대와 비수도권대 간 격차는 다소 완화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시장논리에 따라 입학정원이 자연 감축할 위험이 큰 비수도권대는 여전히 도태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정부세종청사내 교육부 청사[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6/4508_6201_3718.jpg)
2주기(2019~2021년) 정원 감축 정책인 '대학 기본역량 진단' 1단계 결과, 자율개선대학 선정 여부(상위 60%)는 6월 중순께 발표될 예정이다. 하위 40% 대학은 2단계 평가를 거쳐 8월에 역량강화대학 또는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최종 결정된다.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된 대학은 재정지원을, 그렇지 못한 대학은 정원감축과 재정지원제한이라는 철퇴를 맞게 돼 그 영향력과 파급력이 상당하다. 결과가 통지되면 이의신청과 2차 평가, 컨설팅 등이 이어져 대학가는 또 한 번 혼란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2016~2018년)에서 대전은 2만6천846명에서 2만4천453명으로 2천393명(8.9%)을, 충남은 3만3천511명에서 3만219명으로 3천292명(9.8%), 충북은 대학정원 2만4천696명(2013년)에서 2만1천399명(2018)으로 3천297명(13.4%)으로 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