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동문들이 1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KAIST 명예박사 학위를 취소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카이스트 졸업생 282명과 민족문제연구소, 민중의 힘 등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이들은 오후 KAIST 일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과 구속 이후 2년이나 지났지만, 지금까지도 학위 취소는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특히 "사상 초유의 범죄자에게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것은 그 어떤 말로도 설명할 수 없는 모순"이라고 강조하며 "카이스트는 더는 핑계를 대지 말고 박근혜 명예박사 학위 수여를 즉각 취소하라"고 요구했다.
카이스트는 지난 2008년 2월 당시 새누리당 대선 후보였던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한 바 있다.
당시 학교 측은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이 한국의 과학기술 발전을 이끌었다는 점 ▲여성으로서 드물게 전자공학을 전공한 점 ▲16대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에서 활동한 점 ▲이공계 활성화를 비롯해 다양한 과학기술 육성정책을 수립해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점 등을 들어 박 전 대통령에게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이에 대해 동문들은 "당시 많은 사람들이 납득하지 못 했다. 정치적 이유로 학위를 수여한 것이라는 비판이 있을 정도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고등교육법에는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한 학교의 장은 학위를 받은 자가 그 명예를 손상한 경우에는 대학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그 학위수여를 취소할 수 있다'고 규정돼 있다"며 "카이스트와 신성철 총장은 거짓말로 학생들을 속이며, 명예박사 철회 요청을 묵살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날 동문들의 학위 취소 요구에 카이스트 측은 "명예박사를 취소할 수 있는 논리와 규정이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이날 배포된 기자회견문에는 졸업생 282명의 이름과 학과·학번이 모두 공개됐다. 이들은 온·오프라인을 통해 박 전 대통령의 학위 취소에 한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졸업생 일동은 학위 취소가 이뤄질 때까지 서명운동 등 지속적인 움직임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