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내년부터 '100원 택시' 전국 농촌 82개군으로 확대
내년부터 '100원 택시' 전국 농촌 82개군으로 확대
  • [충청헤럴드=송준호 기자]
  • 승인 2017.12.14 14: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버스‧철도 등 대중교통 이용과 자가용 운전이 어려운 농촌 마을 주민들을 위한 택시와 소형 버스를 활용한 이른바 '100원 택시'가 전국에 확대된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14일 내년부터 100원 택시 등 농촌형 교통 모델 사업을 전국 82개군 지역 전체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버스, 철도 등 대중교통 이용과 자가용 운전이 어려운 농촌 마을 고령·영세 주민들에게 택시와 소형 버스를 활용한 대체 교통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남도에서 처음 이 사업을 실시하며 '100원 택시'라는 고유명사가 상징적으로 붙게 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월 26일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엑스포에서 열린 지방자치 박람회장에서 전라남도에서 교통이 불편한 도서산간지방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운행중인 '전라남도 1호 100원 택시'를 살펴보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월 26일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엑스포에서 열린 지방자치 박람회장에서 전라남도에서 교통이 불편한 도서 산간 지방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운행중인 '전라남도 1호 100원 택시'를 살펴보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농식품부가 지난 2014년부터 시작한 이 사업은 해마다 10~20여 개 지자체에 한정해 지원했으나, 내년부터는 전국 82개 군 지역 전체로 사업이 확대된다.
내년부터 이에 따라 사업 추진 체계를 전면 개편, 농식품부가 선정하던 사업 대상 지자체를 시‧도로 변경하고, 이용 요금도 해당 지역 1인당 버스 요금(1200원)에 준하는 수준에서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했다.
사업비 지원 비율에 있어서도 국비 50%, 시‧군비 50%에서 국비 50%, 시‧도비 10%(권장), 시‧군비 40%(상한은 없음)로 변경했다.
교통 모델 운행 방식을 다양하게 제시했다. 기존 택시형(100원 택시) 이외에 버스 유형을 다양화(셔틀‧콜‧혼합)해 지자체가 사업 대상 지역 교통 환경 여건과 주민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최적 운행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내년부터는 또 주민 참여형 교통 모델을 다양하게 제시한 부분도 달라지는 사업 개편 중 하나다. 정부와 지자체 사업비 지원 종료 이후에도 교통 모델 사업이 지속성과 영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 주민이 중심이 된 자립형 모델 정립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기존 운수업체가 운영하던 100원 택시형을 포함해 크게 4가지 유형으로 지자체 선택 폭을 넓혔다. 

농식품부는 대중 운수업체 대신 지역 주민이 주도로 사업에 참여해 지역 형편에 맞는 최적의 교통 모델을 설계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업 계획 수립 시부터 지역 주민 및 자조 조직을 적극 참여시켜 주민 주도형 운행 방식을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 이외에도 추진 중인 지역개발사업과 농촌형 교통 모델 사업 간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도 계속된다. 이를 위해 시‧군에서 농촌 중심지 활성화 사업 등 지역개발사업 신청 시 농촌형 교통 모델 사업과 연계 계획을 제출하면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촌형 교통 모델 사업이 단순한 대체 교통 서비스 제공 차원을 넘어 농촌 마을 교통 사각지대 해소로 농촌 지역 고령 거주민 의료·문화‧복지 서비스가 실질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지역개발사업과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도록 사업을 꼼꼼히 챙기고 점검‧평가해 최선의 성과를 도출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