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를 국빈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2일(현지시각) 오슬로 포럼에서 '국민을 위한 평화'를 주제로 전 세계에 전한 평화의 메시지에 대해 우리는 주목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노르웨이 오슬로대학에서 한 '오슬로포럼' 기조연설에서 새로운 대북정책구상을 내놓기보다 2018년과 2019년에 쌓은 남북-북미 간 신뢰와 대화 의지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반도 평화의 모습을 그리며, '국민을 위한 평화'가 가져올 실질적 변화를 구체화했다고 보여진다. ‘일상을 바꾸는 적극적 평화’, ‘이웃국가의 분쟁과 갈등 해결에 기여하는 평화’가 바로 그 모습이라 우리는 이해한다.
우리가 중시하는 것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 2017년 '신베를린선언'과 같은 그저 '선언'을 기대하는 것은 아니다.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에, 생활 속에 누릴 수 있는 진정한 평화를 말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에겐 냉전구도의 완전한 해체를 넘어, 그리고 아시아를 넘어 인류 공동번영으로 연결되어지는 원동력으로서의 평화, 그리고 온 국민이 만들어가는 평화여야 한다는 점이다.
다행히도 이날 오슬로포럼 기조연설에서 문 대통령은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새로운 비전이나 선언이 아니다"라며 "서로에 대한 이해와 신뢰를 깊이 하는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대화의 의지를 더욱 확고히 하는 것이다"라고 말한 부분을 우리는 중시하고자 한다.
'국민을 위한 평화'라는 새로운 개념이 우선은, '접경지역 피해의 우선 해결'을 거론하는 것이기도 하거니와 남북한 주민들이 분단으로 겪는 구조적 폭력을 평화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서로의 삶에 도움이 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남북한 주민들간의 평화적 해결에 앞서, 남남간 정치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평화적 해결을 통해 국민들 사이에 이념과 사상으로 나뉜 마음의 분단부터 치유해나가려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이는 특정 정파, 또는 남쪽이든 북쪽이든 어느쪽만의 노력만으로는 실현하기가 어렵다. 분단으로 인한 구조적 폭력을 극복하고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일은 백번 동의하는 일이다. 접경지역 지원과 긴장 완화를 통해 ‘국민을 위한 평화’가 분단의 경계로부터 더욱 크게 체감될 수 있도록 하는 일은 필수불가결한 일일 것이다. 평화로 구조적 갈등과 모순을 해결하려는 노력은 모두가 동참하고 모두가 함께 해야 가능한 일이다.
오슬로포럼 기조연설에서 문 대통령이 "최근에는 남북미 정상의 결단으로 한반도 안보 상황의 근본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진행 중이다"라며, 최근 경직된 북미 대화국면에도 불구하고 다소 미화적으로 표현한 것을 나무랄 생각은 없다. 다만, 북한 비핵화라고 하는 거대 담론을 통한 국민 위한 평화를 외치기에 겸연쩍은 요소가 없으려면 남남간 갈등이 증폭되지 않은 채 포용과 대화의 국정모드로 신속히 이행될 수 있도록 청와대와 여권부터 실천하는 노력이 집중되어졌으면 하는 바램을 갖지 않을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