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8400억’ 규모 대전하수처리장, KDI 적격성조사 ‘통과’
‘8400억’ 규모 대전하수처리장, KDI 적격성조사 ‘통과’
  • 박성원 기자
  • 승인 2019.06.27 14: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업 시행자 선정 공고 등 후속 절차...2021년 착공 2025년 준공 목표
대전 유성구 전민동 하수처리장.
대전 유성구 전민동 하수처리장.

[충청헤럴드 대전=박성원 기자] 대전시의 오랜 숙원사업인 온 대전하수처리장 이전 및 현대화 사업이 급물살을 타게 됐다.

대전시(시장 허태정)는 유성구 원촌동 하수처리장이 27일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타(PIMAC)의 민간 투자사업 적격성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대전 하수처리장 이전 및 현대화사업은 비용편익분석(B/C)DL 1.01로 경제성이 있고, 민간투자 적격성분석도 민간 투자 사업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라 원촌동 일원 대전 하수처리장과 오정동 분뇨처리장을 통합하는 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을 8400억 규모의 민자 사업으로 오는 2025년까지 추진한다.

대전하수처리장은 1989년 건설 당시만 해도 도심 외곽지역이었지만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하수 악취로 원촌동, 전민동 주민의 하수처리장 이전 민원이 급증했다.

특히 시설이 오래돼 안전성 문제 등이 발생, 시는 지난 2012년 대전하수처리장을 2030년까지 금탄동 지역으로 이전하는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을 승인받았다.  

하지만 하수처리장 인근 주민들의 조기 이전 요구로 시는 2014년 이전계획을 수립, 2015년 하수처리장 정밀 안전진단을 펼쳐 이전 예정지를 유성구 금탄동에서 금고동 자원순환단지 부근으로 2025년까지 5년 앞당겨 이전하는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부분 변경안을 환경부에 신청한 상태다.

시는 사업 추진에 필요한 시의회 동의 민간투자 사업 심의, 사업 시행자 선정을 위한 공고, 사업 시행자 지정, 실시협약 체결 등 후속 절차를 진행해 2021년 착공해 2025년에 준공할 계획이다.

대전하수처리장 이전대상지 조감도(예정).
대전하수처리장 이전대상지 조감도(예정).

대전시는 하수처리장 이전을 통해 안정적 하수처리 체계 구축은 물론 악취 문제의 근본적 해소,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효과, 대덕연구개발특구 재창조를 위한 토지자원 확보 등 1석 3조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특히, 하수처리장 이전 및 현대화를 통해 시민의 안정적 생활하수 처리는 물론, 사업 후 원촌·전민·문지동 일원 5만여 세대의 악취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고, 사업시행에 따른 1조 6000억 원 규모의 생산 유발효과와 1만 200명의 취업 유발효과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대해 허태정 대전시장은 이날 오전 언론브리핑을 갖고 “최근 건설한 하수처리장은 하수처리장을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은 시민 체육시설 등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하수처리장이 신설되는 금고동 일원도 대규모 주민 편익시설이 생기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통령 공약사항인 4차산업혁명특별시 기반 구축을 위해 우리시에서 준비하는 대동·금탄지구 개발사업이 가시화되면 대전 북측도 새로운 변화의 계기를 맞게 될 것”이라며 지역 주민의 적극적인 이해와 협조를 당부했다.

대전시는 앞으로 사업추진에 필요한 시의회 동의, 민간투자사업심의(기획재정부), 사업시행자 선정을 위한 제3자 공고, 사업시행자 지정, 실시협약 체결 등 후속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해 계획대로 2021년 착공 및 2025년에 준공할 방침이다.

한편, 원촌동 하수처리장은 1989년 제1처리장을 시작으로 2000년 제4처리장까지 건설해 현재 오정동 위생처리장 분뇨를 포함해 1일 평균 65만 톤의 하수와 분뇨를 처리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