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내년 6·13 지방선거에 출마할 광역·기초단체장 후보 경선에 관한 룰에 대해 여론조사 50%와 권리 당원 조사 50%를 반영하는 안(案)으로 기울고 있다.
민주당은 최근 고위전략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에 대부분 인식을 같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이 '여론조사 50% 및 권리 당원 조사 50%'로 경선을 진행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은 당규에 있는 국민 참여 경선의 방법과 반영 비율, 적용 대상을 구체화했다는 의미가 있다.
민주당 당규에 명시된 국민 참여 경선은 선거인단 투표나 전화 면접 여론조사, 휴대전화 투표, 인터넷 투표 등의 방식으로 진행하되 권리 당원은 50% 이하, 일반 유권자는 50% 이상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고위전략회의는 추미애 당 대표와 사무총장을 비롯, 주요 정무직 당직자 등이 참석하는 회의로 매주 비공개로 진행되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앞으로 사무총장이 단장인 지방선거기획단 차원에서 관련 방침을 정리한 뒤 중앙당 및 시도당 공천심사위원회가 구성되면 거기에서 최종적으로 확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여론조사의 경우 안심 번호를 활용키로 했다. 휴대전화의 가상 번호인 안심 번호는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권리 당원 50%에 대해서는 해당 선거 지역에 거주하는 권리 당원 전원을 대상으로 지지도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당 일각에서는 권리 당원 전체를 조사할 경우 문재인 대통령 지지자의 표심이 중요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대선 이후에 권리 당원이 급증하는 과정에서 적지 않게 합류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지난 9월 말까지 권리 당원으로 가입, 경선 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 당원 규모가 100만 명 정도 된다"라면서 "규모가 크기 때문에 일반 유권자와 권리 당원 간 표심차가 별로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주당이 이처럼 경선 규칙을 조기에 구체화하는 것은 높은 문 대통령과 당의 지지율로 후보 기근에 시달리는 야당과 달리 출마 희망자가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경선에 임박해 규칙을 정할 경우 후보간 유불리를 놓고 파열음이 나올 수 있는 만큼 미리 원칙을 세운 셈이다.
당 인사는 "경선 룰은 너무 복잡하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라면서 "이번에는 미리 정해 경선 룰을 놓고 혼란과 갈등이 생기는 것을 차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당 일각에는 당이 지방선거기획단을 지방선거기획본부(가칭)으로 전환키로 하고 경선 방식을 구체화하는 등 지방선거 준비를 조기에 시작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일부 있다.
여당이 너무 일찍 선거준비에 몰입, 선거 분위기를 과열시키는 것 아니냐는 인상을 줄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