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사설] 대전 시내버스 임단협 극적 타결에 즈음해
[사설] 대전 시내버스 임단협 극적 타결에 즈음해
  • 충청헤럴드
  • 승인 2019.07.17 09: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의 서민들의 발이라 할 시내버스 막판 노사 임금단체협상(임단협)이 타결됐다는 소식은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대전시는 전날 오후 2시부터 밤늦게까지 시내버스 사업조합 회의실에서 열린 노사정 간담회에서 마라톤 협상 끝에 2019년도 시내버스 임단협에 합의, 최악의 버스파업 사태를 면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날 노사 임단협 타결에 따라 17일 첫차부터 예정됐던 파업은 전면 철회됐으며, 대전시에서 추진한 비상수송대책도 해제됐다. 노사가 합의한 주요내용은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과 관련해 2020년 1월 1일부터 쉬프트제 도입 △운수종사자 시급 4.0% 인상 △무사고 포상금 월 11만원 지급 등으로 확인되고 있다. 임금 4.0% 인상은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 2.87%보다 높은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우선은 대전시 버스당국과 노사 모두의 노고에 격려의 뜻을 전하는 동시에, 노사가 원만하게 최종 합의점을 찾으면서 교통대란을 피할 수 있게 된 점을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마라톤 협상을 예의주시해온 허태정 시장도 "시민불편을 초래하는 파업에 이르지 않고 임단협이 타결돼 천만다행"이라고 한 만큼 다행스런이다. 해마다 대전은 시내버스 파업 사태에 직면해 서민들이 혹여라도 발이 묶이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거나 또는 실제로 파업사태로 인해 대차투입 등 비상수송대책을 펴는 등 곡절을 겪은 예도 없지않았던 사실을 잘 기억하기 때문이다.

또한, 어차피 대전시내 버스가 지난 2005년부터 준공영제를 실시해오고 있음에도 해마다 연례행사처럼 겪어야 하는 임단협이라면, 노사간 원만한 조정력과 슬기로운 협상은 무엇보다도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대전시 당국으로서는 서민의 발이 묶이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도 과제이지만, 준공영제에 따른 시 재정부담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만큼 시내버스 운영 시스템 상에 불합리한 점은 없는지 살펴 재정이 낭비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임을 주문해두고자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