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헤럴드 내포=안성원 기자] 충남도내 서북부 시·군들의 중부지방해양경찰청(이하 중부해경청) 유치전이 본격화 되고 있다. 자치단체장이 물밑 접촉은 물론 지역 정치권에서도 각자 최적지임을 내세우며 유치경쟁이 본격화 되고 있다.
24일 충남도 등에 따르면 중부해경청이 유치 희망 의견을 접수한 결과 경기도 인천과 시흥, 평택 등이 참여했으며 충남에서는 당진, 서산, 태안, 홍성, 보령 등이 신청했다.
충남도내에서 5개 시·군이나 유치전에 참여하다 보니 지역 내 유치 열기도 뜨겁다. 각자 지리적 이점과 유치 시 지역발전 가능성을 내세우며 균형발전이라는 명분을 강조하고 있다.
충남도의회 홍재표 의원(민주당·태안1)은 보도자료를 통해 중부해경청의 최적지는 태안이라고 주장하며 유치 현수막 설치 등 적극적인 행보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태안은 위치적으로는 중부지방 해양경찰청 관할구역(서천~인천)의 중심이며, 중국의 불법조업으로부터 수산자원 보호를 위한 당위성이 있어 최적지”라며 “대한민국 최서단 태안군 격렬비열도 역시 해양경찰이 수호해 영토주권 보호에 앞장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태안은 유치 경쟁 지역 가운데 어업인구 1위, 어업가구 1위, 도서수 1위로 수산·해양 분야에 있어 어느 자치단체보다 우위에 있다. 중앙행정기관의 이전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를 통해 충남에서 낙후지역으로 손꼽히는 태안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가세로 태안군수도 지난해 3월 ‘해양경찰청 이전 계획에 따른 중부지방해양경찰청 유치 건의서’를 전달하는 등 유치를 위해 관계자들과 접촉 중이다.
서산의 경우, 산시의회 이경화 의원(민주당)의 제안으로 SNS를 통한 ‘중부해경청 서산 이전 챌린지 릴레이’를 진행하고 있다. 릴레이는 18만 서산시민의 10%인 1만8000명이 참여할 때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앞서 맹정호 서산시장은 지난 1월 저수온 주의보가 발령된 서산 천수만 해역의 해상 가두리 양식장을 찾은 당시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에게 중부해경청의 서산 이전을 건의한 바 있다.
당진 역시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어기구 국회의원(민주당·충남 당진)은 지난 15일 국회에서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을 면담하고 중부해경청의 당진 이전을 건의했다.

어 의원은 지난 2017년부터 해경을 비롯해 해수부, 행안부 등 유관부처를 수시로 방문해 면담을 갖고 이전을 건의해왔다. 당진시도 발맞춰 이건호 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중부청유치 TF’를 구성, 민간단체와 함께 공조 체제를 가동 중이다.
보령은 올해 2월 유치의사를 전달한데 이어 3월에는 보령시장이 직접 중부해경청, 해양경찰청을 찾아 적극적인 유치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김한태 도의원(민주당·보령1)은 언론 기고를 통해 “2016년 대비 2017년 해상 조난사고는 보령은 111건에서 218건으로 2배에 육박하는 등 증가추세”라며 “국가중장기 균형발전, 서해안 중앙부에 위치한 지리적 요충지, 수도권과의 접근성 개선, 최대 해양도시로서 보령이야말로 최적지”라고 힘을 실었다.
이밖에 홍성군도 3곳의 후보지를 제시하고 토지 무상사용 등의 조건을 걸며 유치의사를 보이고 있다.
한편, 문재인 정부에서 부활한 해양경찰청 본청이 지난해 인천으로 이전함에 따라 현재 인천에 있는 중부해경청은 타 지역 이전이 유력한 상황이다. 해경은 11월까지 입지 선정을 위한 용역조사를 마친 후, 연말이나 내년 초 이전 부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중부해경청 산하에는 보령·태안·평택·인천해양경찰서 4곳과 서해5도특별경비단 등 총 5개 기관이 있다. 이전을 하게 되는 중부해경청 본청의 경우 약 250명 정도가 근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