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용화 앞서 안전테스트 철저" 文 대통령에 보고도
[충청헤럴드 세종=강재규 기자] 앞으로 세종시 스마트시티 시범구간에서는 자가용 승용차나 택시를 타지 않고도 자전거와 퍼스털모빌리티, 공유차로 이동하고 자율주행차로 환승해 모든 지역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25일 "어제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자율주행 실증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받았다"며 "자율차 운행에 적합한 교통인프라를 갖추는 등 자율주행 특화도시 조성의 동력을 확보, 향후 자율차 상용화 거점도시로 도약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이날 시청 정음실에서 정례 언론브리핑을 통해 '세종 자율주행실증 규제자유특구 추진계획'을 이같이 밝히고,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사업을 통해 자율차 관련 기업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자율차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종시의 자율차 규제자유특구 지정은 산업기반이 취약한 세종시가 다른 지역과 경쟁해 자율차라는 신산업 분야를 선점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시는 분석하고 있다.

세종시 자율차규제자유특구에 참여하게 되는 기업은 현재 14개 정도로 예상하고 있으며, 시는 이들 기업 유치외에도 새로운 산업 분야를 발굴해 지역 일자리 창출 효고를 거둬가겠다는 구상이다.
세종 자율주행실증 규제자유특구는 세종시 신도시 일원과 조치원읍 장영실과학기술지원센터를 포함한 15.23㎢ 범위로, 올 7월부터 오는 2023년 6월까지 4년간 지정 유지된다. 정부 지원금만도 870여억원에 이른다.
이번에 승인된 특구는 강원의 디지털 헬스케어, 대구 스마트 웰니스, 전남 e모빌리티, 충북 스마트안전, 경북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부산 블록체인, 세종 자율주행 등 7개 지역·사업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전국 지자체가 신청한 34개 특구계획 중 8개를 우선 신청 대상으로 선정했고 이 중 7개를 최종 승인했다. 대전과 충남은 혁신산업분야 규제자유특구 지정에서 제외, 향후 추가 지정기회를 노려야 할 처지다.
이 시장은 전날 중소벤처기업부 지정발표에 이어 부산 누리마루 APEC하우스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하 '규제자유특구, 지역주도 혁신성장의 중심'을 주제로 열린 시도지사 간담회 자리에서 "2~3년 후 세종 스마트시티가 만들어지기 전까지 자율주행차의 상용화에 대비해 시험주행로가 아닌 실제 도로에서의 안전테스트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보고했다고 소개했다.
시는 한국교통연구원과 협력해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연구개발 사업(국토부 지원)을 진행하고 있으며, 가상공간에서 자율차 주행을 시험하는 시뮬레이터를 설치하는 한편, 올 하반기에는 기업들이 부품개발을 위한 장비를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미래차연구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춘희 시장은 "자율주행 실증 규제자유특구 지정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실현과 국가산업단지 성공의 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은 물론, IT를 기반으로 한 첨단 스마트기술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가 속속 창출되고 시민들의 삶의 질도 한층 좋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