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헤럴드 국회=강재규 기자] 정진석(충남 공주부여청양) 의원은 31일 일본수출규제대책 민ㆍ관ㆍ정 협의회 자유한국당 일본수출규제대책특위원장 자격으로 참석,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대응과 관련해 "경제전쟁에 승자는 없다. 양국 모두에게 상처만 남길 뿐"이라며 "이제 감정적 전쟁국면을 이성적 협상 국면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또 문 대통령이 취임 이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3차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나 푸틴 러시아 총리와는 각각 5차례 정상회담을 가졌지만 아베 총리와는 단 한 차례도 정상회담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면서 "필요하다면 문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이 문제를 푸셔야 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제1차 일본수출규제대책 민ㆍ관ㆍ정 협의회 출범식을 겸한 첫 회의에서 "일본 재계를 가장 잘 아는 전경련이 보이지 않는다"며 "전경련은 1983년부터 일본 경제단체 경단련과 공동으로 한일 재계회의 개최해온 만큼 일본 재계에 폭넓은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단체인 만큼 민관정 협의체에 참여시켜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정 의원은 "전경련을 배제한 채 한일 간 경제갈등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 분명 한계가 있다"면서 "지금은 실효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할 때이니 만큼 전경련을 협의회에 참여시킬 것을 공식적으로 제안한다"고 강조했다.
전경련은 1980년대부터 일본경제단체연합회(경단련·게이단렌)과 함께 '한일 재계회의'를 개최하며 양국 간 경제협력을 도모하는 등 민간 최고위급 경제인 협력 채널을 보유하고 있는 대표적 '지일(知日)' 단체로 꼽힌다. 하지만 이번 협의회에 초청받지 못한 채 제외돼있다.
한편, 이날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초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민관정 협의회가 공식 출범했다. 지난 18일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 회동의 결과물이다.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협의회 모두발언에서 "일본의 수출규제조치는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판결에 맞서 이뤄진 명백한 경제보복이며 우리나라에 대한 경제침략 행위"라며 "국가적 위기 앞에는 여야 구분이 없다. 오히려 이번 위기를 소재부품산업의 특정국가 의존도를 탈피하고 국산화를 앞당기는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