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사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이 오늘에 주는 의미
[사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이 오늘에 주는 의미
  • 충청헤럴드
  • 승인 2019.08.14 13: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4일 1400차 수요집회 모습. [사진=ytn]
14일 1400차 수요집회 모습. [사진=ytn]

오늘 8월 14일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이다. 1991년 고 김학순 할머니가 피해사실을 최초로 공개증언한 날이기도 하다.

10개국 34개 도시에서 벌이는 1400번째 수요집회('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이기도 하다. 서울 일본대사관앞뿐 아니라 강원 춘천, 경기, 대전, 대구, 경남, 울산, 광주, 부산에서도 촛불문화제가 열렸거나, 예정돼 있다. 올해는 특히 세계가 연대해 벌이는 뜻깊은 날이다. 예년과 비교할 수 없는 많은 시민들이 함께하며 힘을 실어주고 있다. 

천안에서도 천안고 동기인 김지철 충남교육감과 구본영 천안시장도 각각 천안에 위치한 국립 망향의 동산을 찾아 참배, 각오를 다지는 모습이다.

그럼에도 오늘을 맞는 우리의 마음은 무겁고 참담하다. 김 할머니의 용기에 비해 우리의 준비가 너무도 부족한 때문이다. 위안부 할머니들이 과거를 이야기한 것이었지만 그에 대한 현재와 미래의 답은 우리가 내야 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역사의 순리고, 후손의 업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범국가 일본의 아베총리와 극우세력들은 역사를 부인하고, 저들의 과오를 애써 외면해왔다. 큰 잘못, 역사상 씻을 수 없는 범죄를 저지르고도 아주 작은 사과한마디로 모든 걸 다 해결한 양 '적반하장'을 일삼는다.

더 나아가 우리의 정당한 주장에 대해, 사법적 판단에 대해 정치적으로 해결할 문제를 경제적 보복책으로 비수를 겨누고있다.

일본은 여전히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 1993년 일본의 관방장관인 고노 요헤이가 발표한 ‘고노담화’에서 강제동원 사실을 인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베총리와 극우세력들은 그조차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진실은 감출 수 없다. 2007년 미국 하원도 만장일치로 결의문을 채택하여,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인정하고 일본정부의 사죄를 촉구한 바 있다.

"내 몸이 증거다"라고 외치며 이 문제를 용기있게 공론화해 온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아직도 진심어린 사죄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파렴치한 일이다.

지금이라도 아베정권이 사죄하는 것만이 답이다.

우리는 오늘 기림의 날을 맞아, ‘역사에 다시는 이런 일이 없어야 한다’면서 본인들의 끔찍한 경험을 고발한 위안부 피해자들의 용기를 가슴깊이 기억하리라.

그 나머지, 곧 '사죄해야 할' 사람들이 사죄할 때까지 끝까지 싸우는 것은 우리의 몫이다. 아베가 경제보복의 칼날을 거둬들이고, 아베와 일본의 우익이 진심어린 사과와 배상으로 나올때까지다. 

전국의, 그리고 전세계서 동시에 개최되는 이 기림의 날에 수많은 여성 인권운동가들이 외치는 "일본, 반성하라"는 요구와 함께 벌이는 '노 재팬'의 목소리가 쟁쟁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