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헤럴드 아산=안성원 기자] 충남 아산시에 위치한 순천향대가 2020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총 모집인원의 74.4%인 1877명의 학생을 선발한다.
27일 대학에 따르면, 원서 접수는 오는 9월 6일부터 10일까지 5일간이며 인터넷으로만 가능하다. 수시모집은 크게 ▲학생부교과전형(1001명) ▲학생부종합전형(797명) ▲실기위주전형(79명)으로 구분된다.
학생부교과전형 중 학생부교과(일반학생전형)과 학생부교과(지역인재전형)은 학생부교과 100%에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해 선발한다. 정원 외 학생부교과전형은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학생부교과 100%로 선발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은 학교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발하며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학생부종합(일반학생전형)과 학생부종합(지역인재전형) 간에는 중복지원이 되지 않으며, 다른 전형에서의 중복지원은 제한이 없다.

학생부교과전형은 학생부 교과 100%이므로 순천향대 입학처 홈페이지(http://ipsi.sch.ac.kr)에 있는 지원가능학과 조회하기 메뉴에서 자신의 학생부 교과 등급과 이수단위를 정확하게 입력해 점수를 산출한 후, 지난해 성적과 비교하고 지원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시 수학 ‘가’형, ‘나’형 응시제한은 없다, 다만 의예과의 경우 수학 ‘가’형과 과학탐구 과목을 응시하지 않을 경우 각각 0.5등급씩 하향 반영한다. 유아교육과, 특수교육과는 모든 전형에서 교직 인・적성면접을 실시하며 10% 반영된다.
이상명 입학처장 “학교생활 충실도 중요, 투박해도 솔직하게”

- 순천향대의 인재상과 교육목표는?.
“우리 대학은 ‘인간사랑’의 건학이념을 바탕으로 ‘사회에 공헌하는 창의인재 양성’을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학업능력뿐 아니라 바르고 열린 심성, 열정, 창의성, 발전가능성 등 다양한 능력을 갖춘 학생을 선발, 서로 소통하고 나눌 수 있는 교육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달라지는 부분은?
“크게 달라진 부분 없이 유지돼 안정적인 전형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실기위주전형에 달라진 점이 다소 있다. 첫째, 체육특기자전형의 전형요소에 고교생활에서의 출석이 0.8% 반영된다. 둘째, 정시모집에서 디지털애니메이션 학과의 실기고사 항목이 칸만화, 상황표현, 발상과 표현, 사고의 전환 4가지 중 1개를 선택했으나, 2020학년도에는 기초디자인 항목이 추가돼 5가지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 학생부위주(교과)에서 반영하는 과목은 무엇인가.
“학생부교과전형은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 5개 교과를 계열 상관없이 반영한다. 다만 학과 특성을 고려해 모집단위별로 두 개 교과를 각 10%씩 가중치를 부여하고 있다. 교과별 반영과목과 모집단위별 가중치 부여 교과는 모집요강을 참조하면 된다.”
-학생부위주(종합)에서 1단계 서류평가 주요 평가요소는 무엇인가.
“고등학교 생활을 얼마나 충실히 했는지를 보고자 한다. 평가요소는 학업능력, 전공적성, 나눔과 배려 및 공동체의식, 자기주도성이다. 학업능력은 내신등급의 높고 낮음이 아니라 순천향대에서 학업 할 수 있는 기초학습능력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전공적성은 전공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어떤 활동으로 이어졌는지를 평가한다. 나눔과 배려 및 공동체의식은 학교 내에서 어떻게 공동체 생활을 했는지를, 자기주도성은 얼마나 적극적이고 주도적인지를 평가한다.”
- 학생부위주(종합) 서류를 작성하는 학생에게 조언을 한다면?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자기소개서다. 자기소개서 문항은 대교협이 공통양식으로 제시한 세 가지 문항만으로 구성했다. 활동이나 수상실적을 단순하게 나열하는 것은 학교생활기록부의 반복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활동의 동기, 구체적인 내용, 배우고 느낀 점 등 학교생활기록부에 없는 내용을 투박하더라도 솔직하게 적는 것이 좋다.”
- 2단계 면접의 진행과정과 주요 평가요소, 기출문제는 무엇인가.
“면접평가는 서류평가를 통해 선발된 모집인원의 3배수에 대해 진행한다. 면접진행과정은 면접대기실에서 본인확인 후 순서대로 개인별 면접을 진행한다. 면접관은 2명이며 개인별 10분 내외로 진행한다. 주요 평가요소는 전공적성, 의사소통능력, 발전가능성이며, 화려한 말솜씨가 아니라 자신 있고 당당하게 자신의 고교생활과 미래 계획을 말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