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전 국무총리는 22일 대법원 상고심에서 무죄를 확정받은 뒤 향후 거취에 대해 "오늘은 사건 얘기만 하겠다"라면서 "거취 문제, 정치적 문제는 기회를 따로 갖겠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 내년 6.13 지방선거에 출마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총리까지 했는데"라며 완곡한 표현으로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간의 소회를 밝히면서 "진실을 밝혀준 재판부에 감사하다"라면서 "2년 7개월 동안 인고의 세월을 겪으면서 저를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 됐다"라고 말했다.
![이완구 전 국무총리가 22일 대법원 상고심에서 무죄가 확정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712/1280_1414_555.jpg)
이어 일부 검찰 측 증거 자료를 폐기한 것과 관련, "당시 수사 책임자였던 문무일 검찰총장을 향해 답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말하기도했다.
<다음은 이 전 국무총리 발언 전문과 일문 일답>
"저로 인해서 많은 심려를 끼쳐드린 국민들께 송구스럽다는 말 먼저 드리지 않을 수 없다. 진실이 덮여지지 않도록 진실을 밝혀주신 재판부에 감사 드린다.
구체적인 사건 내용에 대해선 변호인이 말하는 것으로 하겠다. 먼저 2년 7개월 동안 현직 국회의원과 국무총리로서 사퇴를 하고 인고의 세월을 겪으면서 이 사건 뿐만 아니라 나를 바라볼 수 있는 기회 40년 동안 공직에 있으면서 나의 지나온 뒤안길, 오히려 더 반성하고 국민과 국가에 제대로 일을 했는가 계기가 됐다.
기본적으로 2015년 4월 17일 총리직 사퇴했는데 모 신문에서 이완구 총리가 2013년 비타500으로 받았다고 지금도 기억하고 있다. 70만 건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그런데 재판과정에서 비타500이라고 말한 사람이 없다고 했다. 대단히 유감스럽다. 그렇게 얘기한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경향신문도 그런 적 없다고 하더라.
두번째, 제 사건을 떠나서 검찰이 이완구 전 총리를 기소하면서 법정에 내 놓은 증거자료를 재판이 끝나기 전에 조작하고 폐기했다.
검찰이 기소했는데 증거자료가 있는데 재판장이나 내가 보자고 했는데 폐기했다는 것이다.
검찰이 제출한 증거를 보자고 했는데 그것 폐기했다고 하는 것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 당시 수사 책임자는 문무일 검찰총장이다.
문 총장은 당시 수사책임자로서 답을 해야 한다. 조작폐기에 대해서 수사보고를 받았는지 이것은 중대한 문제이다.
오늘 대법원 확정 판결 있었는데 이완구 사건 떠나 이 나라 전 법조인이 고민해야 한다. 검찰도 고민해야 한다. 이 사건과 관련해서 검찰측 증인들이 있다. 그런데 이들이 다른 사건으로 인해 재판을 받는 과정에서 쌍방이 모두 항소를 포기했다.
어떻게 주요 증인들이 쌍방 항소를 포기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이걸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겠나. 회유라는 말은 쓰지 않겠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 검찰은 답을 해야 한다.
현재 검찰 개혁 문제 거론되고 있다. 당의 원내대표와 국무총리를 지낸 사람으로서 검찰의 개혁이 필요한지 이 사건을 보면 알 수 있다. 수사권 기소권 독점을 왜 하지 않아야 하는지 법조인과 정치권이 고민해야 한다. 이 사건을 타산지석 삼아서 진정한 의미의 형사사법제도의 바람직한 상이 정립돼야 한다.
국민 여러분께 경위가 어떻게 됐든 죄송스런 말씀 드린다. 제 부덕의 소치로 이런 문제가 생겼으니까 죄송스럽다는 말 드린다."
-내년 6월 지방선거 출마 여부나 계획은.
▲오늘은 사건 얘기만 하겠다. 거취문제 정치적 문제는 기회를 따로 갖겠다.
-명예훼손 문제에 대해선 어떻게 하실 것인지.
▲그 부분은 변호인께서 말씀 드릴 것이다.
-정치권에 한마디 부탁드린다.
▲정치 얘기는 오늘 하지 않겠다.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할 생각이신지
▲(내가)국무 총리까지 한 사람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