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난처한 검찰, 검찰 수장이 지휘했던 이완구, 홍준표 무죄라니...
난처한 검찰, 검찰 수장이 지휘했던 이완구, 홍준표 무죄라니...
  • [충청헤럴드=배태호 기자]
  • 승인 2017.12.23 11: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완종 리스트 의혹' 수사 책임자는 당시 대전지검 문무일 검사장이었다.

그는 문재인 정부 들어 검사들의 수장인 검찰총장으로 발탁됐다.

​대검찰청 청사[사진=연합뉴스]​
​대검찰청 청사 [사진=연합뉴스]​

그 사건의 종착점은 이완구 전 국무총리(67)과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64)였다. 그러나 이들은 1심에서는 유죄를 받았지만 2심에서는 증거 부족 등의 이유로 무죄를 받았고, 그리고 지난 22일 대법에서 무죄가 확정됐다.

무죄 확정 후 이 전 총리는 충청권 기자들을 만나 직접 문 총장을 거론하며 날을 세웠다.

이 전 총리는 "당시 수사팀장이었던 문무일 검찰총장이 입장을 밝혀야 한다"라며 "문 총장은 이 판결의 의미를 고민하고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회 차원에서 반드시 논의될 것"이라면서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사건"이라고도 주장했다.

홍 대표 역시 이날 대법원에서 무죄가 확정된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일부 수사 검사들이 수사 과정에서 증거 조작을 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왼쪽)와 이완구 전 총리가 '성완종 리스트' 관련 대법원의 무죄 선고를 받은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와 대법원에서 밝은 표정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왼쪽)와 이완구 전 총리가 '성완종 리스트' 관련 대법원의 무죄 선고를 받은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와 대법원에서 밝은 표정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검사 출신인 그는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증거를 조작한 검사들에 대해서는 응분의 책임을 반드시 물을 것"이라며 "요즘 검사들은 사건을 수사하는 게 아니라 만들고 있다. 공판 과정에서 확정된 검사의 증거 조작 혐의에 대해서는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라고 밝혔다.

그렇지만 당시 특별수사팀장을 맡았던 문무일 현 검찰총장에 대해서는 "문 검찰총장이 그런 식(증거 조작)으로 지시했다고 믿지 않는다"며 "증거를 조작한 검사들이 있지만 문 총장이 가담했다고 믿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두 사람은 자신들을 불구속기소한 검찰을 직접 겨냥한 것이다.

검찰은 23일 현재 아직 이렇다할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한 언론은 대검 관계자가 "1심 재판부터 지켜봤다면 무리한 수사가 아니었음을 알 것"이라며 "이 전 총리의 요구에 별도의 대응을 하지 않겠다"라고 말했다고 보도한 것이 고작이다.

성완종 리스트 사건은 성 전회장이 자원 개발 비리 혐의로 수사를 받고, 영장실질심사가 있던 날인 지난 2015년 4월 9일 스스로 목숨을 끊기 직전 한 기자와 전화 인터뷰하며 홍 대표와 이 총리를 비롯한 유력 정치인들에게 돈을 건넸다고 폭로해 불거졌다.

김기춘 전 대통령비서실장과 이완구, 허태열, 홍준표 등의 이름이 적히고 액수가 명시된 메모가 단서가 됐다.

​대검찰청 청사[사진=대검 홈페이지]​​
​대검찰청 청사[사진=대검 홈페이지]​​

당시 대전지검장으로 재직 중이던 문 총장이 특별수사팀장으로 발탁, 홍 대표와 이 전 총리를 불구속 기소했다.

그러나 충청권 법조계 안팎에서는 "경향신문 인터뷰, 증거 메모, 증인 및 참고인 조서 등을 보면 검찰이 최선을 다한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충청 법조계 또 다른 관계자는 "무리한 수사였다"라면서 "문 총장이 수사를 지휘했던 만큼 그가 맡은 사건이 무죄가 났으니, 향후 검찰 입장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