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돼지흑사병으로도 불리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심상치 않은 기세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 17, 18일 파주와 연천 두 양돈농가에서 기르던 돼지에서 ASF 첫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주춤했던 돼지열병은 지난 주말 태풍 타파가 지나간 직후인 23일 이후 확산일로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적 공포감을 갖게 하기에 충분하다. 이후 김포 양돈농가가 ASF 확진판정을 받더니, 24일에는 파주에서 ASF 확진 농가가 추가됐으며, 인천 강화의 한 농가도 확진 판정이 나왔다. 25일 현재까지 확진판결을 받은 곳만도 전국 5곳에 이른다. 여기에 북한은 이미 돼지열병이 만연해 있다는 언론보도가 나오는 상황을 감안하면, 북으로부터 날아오는 이른바 '돼지열병 북풍'이 언제 우리 충남지역으로 확산될지 모를 일이다. 더욱이 우리 충남은 양돈 수에서도 전국 광역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지역으로 이번 돼지열병 방역 차단에 사활을 걸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돼지열병은 한번 전염되기 시작하면 온 나라가 걷잡을 수 없을 만큼 그 위세가 대단하다는 것은 이미 유럽이나 중국 베트남 등 여러 나라의 경험에서 잘 알 수 있다. 또한 경로 추적도 쉬지않을 뿐더러, 그 완전박멸까지는 수십년이 걸리기도 하는 등 너무도 두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같은 돼지열병을 막기위해서는 완벽한 방역으로 차단하는 길 외엔 달리 방법이 없다. 현재 이를 제압할만한 완벽한 백신이 개발되지 못한 상태라면 더 말할 나위가 없다. 항간에, 돼지열병 첫 발생지를 다녀간 차량이 전국 수백곳을 돌았다는 이야기가 떠도는 것을 볼 때, 충남도 역시 돼지열병의 청정지대로 자신하기에는 너무도 부족한 부분이 많을 것이다. 아무리 충남도 방역당국의 방역의지가 강하다고 해도 중앙 방역당국이 최초 발생 이후 다소 느슨한 틈에 너무 일찍 이동중지 명령을 해제하는 등 이해하기 어려운 정책시행에 자칫 방역망을 뚫리는 빌미가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또한 감염경로와 관련해 바이러스 발생원점을 방문했던 차량이 1, 2차 발생 농장을 방문한 사실이 확인됐다. 3, 4차 발생농장은 1, 2차 발생농장들과 차량이 오간 기록이 확인됐다. 특히 3, 4차 농장은 역학관계가 드러나 정밀검사를 실시했지만 음성으로 판정됐다고 한다. 그럼에도 발병한 것으로 미뤄, 역학조사는 부실했고 정밀검사는 신뢰할 수 없게 된 셈이다. 충남도 방역당국을 더욱 긴장케하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현 수준에서 돼지열병을 막지 못하면 대재앙이 됨은 물론, 국가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이미 이는 이웃 중국이 양돈산업이 붕괴돼 미국으로부터 돼지고기 수입으로 인한 엄청난 희생이 따른다는 보도에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충남도 방역당국은 이러한 위기의식 속에 국민불편과 양돈농가 피해를 감수하고서라도 방역 차단에 사력을 다해줄 것을 당부한다. 24일 충남도가 국회에서 가진 정책 설명회 자리서도 밝힌 바와 같이, 충남도가 정부의 '재난안전' 격상 조치에 따라 방역차단에 초비상에 돌입, 도내 거점소독소 20개소와 임시검역초소 28개소 등에 대한 운영비 시설확충 등 특별교부세 22억원과 거점소독시설 현대화 자금 30억원에 대한 국비지원을 요청하고 나선 만큼 정치권이 발벗고 나서 시급히 지원될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할 줄로 안다. 여기에다 관계 공무원들과 도민 모두 어떠한 불편과 희생을 부릎쓰고라도 대재앙을 반드시 막겠다는 의지로 방역에 나서주기를 간곡히 당부하고자 한다. 방역대가 뚫린 후 치를 희생은 몇년, 십수년이 흘러야 해결될지도, 또 몇 수십만배의 댓가를 치러야 할지도 모를 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