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헤럴드 내포=안성원 기자] 경찰청의 고위직 인사에 ‘충청권’이 홀대받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영·호남 출신이거나 서울 근무자에 편중된 ‘불공정성’이 문제 점으로 지적된 것.
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홍문표 의원(한국당, 예산·홍성)이 경찰청 제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찰 고위직에 해당하는 경무관이상 승진자 총 106명 중 85명(80%)이 서울지역 경찰청 근무이후 승진한 반면, 지방경찰청 근무자들과 일선 경찰서장 중 경무관으로 승진한 경우는 20%에 불과했다.
서울을 제외한 전국 223개 경찰서중 지방 경찰서 승진 출신자는 단 2명에 불과했으며, 충남, 강원, 충북, 전북, 광주, 경북은 경무관으로 승진한 인사가 1명에 불과했다.
특히, 경찰서장급인 총경이상 승진자 706명 중 영·호남출신이 454명(64%)으로 독차지하고 있었으며, 수도권 10명(14%), 충청권 9명(13%)순으로 이뤄져 지역 편중현상도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 의원은 “이런 인사 구조는 결국 승진 대상이 되는 사람이 지방으로 발령을 받으면 좌천됨을 의미하며, 지방에서 근무한 사람들은 승진을 위해 반드시 수도권으로 오려고 기를 쓰는 과정에 각종 인사 청탁이나 비리들을 양산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구조”고 주장했다
또 “옛 격언에 ‘말은 나면 제주도로 보내고 사람은 나면 서울로 보내라’는 말이 있는데, 지방분권시대에 아직도 경찰은 서울에 있어야 승진할 수 있는 구시대적인 구조냐”고 따지며 “일선 경찰서 근무자들이 승진에서도 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서울중심 인사 편중은 시급히 개선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