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대전시, 자살 증가율 전국 최고 ‘불명예’
대전시, 자살 증가율 전국 최고 ‘불명예’
  • 박성원 기자
  • 승인 2019.10.20 13: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8년 자살 구조출동 1만 5696건, 전년 대비 31.6% 증가
2017년 대비 증가율 1위 대전 97.6%...대책마련 절실
자료사진. [충청헤럴드 DB].
자료사진. [충청헤럴드 DB].

[충청헤럴드 대전=박성원 기자] 지난해 대전지역의 자살 사망자 수가 97.6%나 급등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전지역에서 수난익사 사고로 인한 자살구조출동 증가율이 750%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종시도 차량 내 가스중독으로 인한 출동 수가 전년도 대비 700%나 급증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경기 광주시갑)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소 의원 측에 따르면 지난해 매일 43건의 자살추정 구조출동이 있었다. 2018년 전국 자살구조 출동은 1만 5696건으로, 2017년 1만 1931건에서 3765건, 31.6% 증가했다. 1년 사이에 일평균 10건 이상의 자살구조 출동이 새롭게 증가한 것이다.

사고유형별로는 지난해 추락·투신이 3470건(22.1%)으로 가장 많았고, 목멤 1606건(10.2%), 자해 1313건(8.4%), 약물·음독 1229건(7.8%) 순이었다.

2017년 대비 2018년 가장 증가율이 높은 유형은 110% 증가한 폭발물을 이용한 자살이었고, 다음으로 차량 내 가스중독 41.9%, 방화·분신 40.5%, 수난익사 32.3%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경기가 4378건으로 전체의 27.9%를 차지했고, 서울 3108건(19.8%), 부산 1029건(6.6%), 경남 934건(6.0%), 전남 725건(4.6%) 순이었다.

2017년 대비 2018년 증가율은 대전이 97.6%로 가장 높았고, 제주 78.7%, 경북 76.4%, 강원 68.4%, 전남 67.1% 순이었다.

사고유형별로 2017년 대비 2018년 구조출동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지역을 보면, 약물·음독의 경우 경북(107.7%)이었고, 수난익사는 대전(750%), 목멤은 제주(233%), 자해는 강원(475%), 방화·분신은 경북(800%), 차량 내 가스중독은 세종(700%), 폭발물을 이용한 자살은 경기(250%), 추락투신은 세종(144.4%)였다.

한편, 올해 상반기까지 전체 구조출동은 8621건을 기록 중이며 연간 출동건수로 환산할 경우 1만 7242건이다. 이는 2018년보다 1546건, 9.8% 더 많았다. 사고유형별로는 추락·투신이 1905건(22.1%)으로, 지역별로는 경기가 2333건(27.1%)으로 가장 많았다.

이에 대해 소병훈 의원은 “2017년을 제외하고 2005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나라는 매년 OECD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얻었다. 소방을 포함한 지자체, 관계기관 간 자살예방과 구조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며 “자살사고 구조에 투입되는 소방관이 우울증과 수면장애 등의 정신질환으로 고통을 받지 않도록 소방관 보건안전에 대한 국가와 지자체의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