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경기 불황에 직격탄 맞은 음식·주점업 자영업자들
경기 불황에 직격탄 맞은 음식·주점업 자영업자들
  • [충청헤럴드=박상현 기자]
  • 승인 2018.01.03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시 서구에서 지난해 치킨과 호프집을 낸 A 씨(39)는 같은해 10월 말 문을 닫았다. 문을 열자 한두 달은 그럭저럭 수지를 맞췄지만 여름 휴가철을 지나면서 소비가 급감해 하향곡선을 그렸다.

문을 닫고 셈해보니 은행 대출과 전 직장에서 받은 퇴직금, 아내의 적금을 합쳐 2억 원을 고스란히 날렸다.

천안에서 재작년에 자가(自家) 맥주집을 차린 B 씨(46. 여)도 마찬가지다. B 씨는 남편이 도와줘 인건비 걱정과 재료 등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손님이 크게 줄어 최근 폐업했다. 문을 열면 열수록 고정비용만 더 들고, 임대료와 월세를 대느라고 진땀을 빼다가 사업을 접었다. 버는 족족 월세 등에 쏟아붓기만 한 것이다.​

대전등 전국이 내수부진과 소비둔화등으로 음식점업과 주점업이 지난해 사상 최대의 생산수치가 줄었다[사진=연합뉴스]
대전 등 전국에서 내수 부진과 소비 둔화 등으로 음식점업과 주점업이 지난해 사상 최대로 생산 수치가 줄었다. [사진=연합뉴스]

이처럼 경기침체의 그늘 속에 지난해 서민들의 창업 업종인 음식·주점업 생산이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수치상으로 경기 회복 조짐이 나타났지만 계속된 소비 부진과 청탁금지법, 혼술·혼밥 등 1인 가구가 늘면서 소비 트렌드 변화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월~11월까지 음식점 및 주점업 생산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3.1%나 줄었다.

이 같은 감소는 지난 2000년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제2차 글로벌 금융위기에 시달렸던 2009년 1∼11월 감소 폭(-2.4%)보다도 0.7%포인트(p)가 더 크다.

12월 한 달이 더 남았지만 이미 1∼11월 감소 폭이 큰 탓에 지난해 음식·주점업 생산은 2015년(-1.8%), 2016년(-0.8%)에 이어 3년 연속 마이너스가 확실하다.

음식점 및 주점업 생산이 3년 연속 줄어든 것은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처음이다. 이는 경기 회복세에도 내수 둔화 등으로 소비가 기를 펴지 못한 까닭이다.

지난해 1∼11월 소매 판매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2016년 1∼11월 증가 폭(4.5%)의 절반을 조금 웃도는 수준이다.

경기 회복세에도 여전한 소매 판매 부진 이면에는 체감 경기가 자리 잡고 있다.

지난해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3년 만에 3%대 성장이 확실해도, 소득분배 악화와 청년실업률 최고치 달성 등 서민들의 삶의 질은 뒷걸음질 치고 있다.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혼술·혼밥 소비 풍조가 음식·주점업 경기를 위축시키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에 따라 최근 직장 회식 문화가 점차 간소화되고 편의점 간편식이나 가정식 문화가 더 세련된 것으로 인식되면서 음식·주점업을 찾는 발걸음이 점점 줄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 밖에 화훼·외식업계를 중심으로 2016년 하반기 시행된 청탁금지법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음식점업 사업체는 2015년 기준 47만 3천600개로 사업체 수가 가장 많은 대표적인 서민 업종이다.

주점 및 비알콜 음료점업 사업체는 18만 3천500개로 음식점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통계청 관계자는 "음식·주점업 생산이 줄어든 것에는 내수 부진과 소비 둔화의 경기 요소와 1인 가구 증가 등 인구 구조적 요인까지 다양한 요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