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국민의당·바른정당 2월 내에 진짜 손잡나?
국민의당·바른정당 2월 내에 진짜 손잡나?
  • [충청헤럴드=박상민 기자]
  • 승인 2018.01.03 1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을 논의하기 위한 통합추진협의체(통추협)는 3일 내달 내에 신설 합당 방식으로 통합을 완료하는 데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국민의당의 이언주·이태규 의원과 바른정당의 오신환 원내대표 및 정운천 의원으로 구성된 통추협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출범식을 겸한 첫 회의를 열어 1시간가량 논의 후 이 같은 합의 사항을 발표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2+2 채널' 의원들이 2일 오후 국회 오신환 의원실에서 모임을 열고 '통합추진협의체'로의 전환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당 이태규 의원, 바른정당 오신환 원내대표, 국민의당 이언주 의원, 바른정당 정운천 최고위원. [사진=연합뉴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2+2 채널' 의원들이 2일 오후 국회 오신환 의원실에서 모임을 열고 '통합추진협의체'로의 전환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당 이태규 의원, 바른정당 오신환 원내대표, 국민의당 이언주 의원, 바른정당 정운천 최고위원 [사진=연합뉴스]

이들은 우선 "대한민국의 낡은 정치를 청산하고 새로운 개혁 정당의 탄생을 염원하는 국민의 준엄한 뜻을 받들고, 구시대 전유물인 지역주의를 극복하고 합리적 개혁세력의 통합을 도모할 것"에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또 "양당의 단순한 합당이 아닌 '신설 합당' 방식을 취하기로 했으며, 이 과정에서 정치 변화와 개혁을 열망하는 3세력의 대통합을 추진하겠다"라고 천명했다.

신설 합당이란 새 당을 만든 뒤 이 신당이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을 사실상 흡수하는 방식으로, 이 경우 의원들의 당적도 그대로 승계되는 데다 절차가 간소하다.

양당은 입인사 등 새로운 인물이 신당 창당과 동시에 합류하기에도 알맞은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통추협은 "양당 당원의 열망을 실현하기 위해 2월 이내에 통합 완료 노력을 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양당에 공동 실무지원팀을 두기로 했다"라고 소개했다.

통추협은 4일부터 매일 비공식 협의를 갖기로 했으며, 필요할 경우 협의 내용을 언론을 통해 공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1월 말까지 두 당에서 통합을 추인받기 위한 전당대회를 거친 뒤 2월 안에는 합당을 마무리 짓기 위한 '창당결의대회(가칭)'를 열겠다는 것이 양당 지도부의 계획이다.

그러나 국민의당 내 통합 반대파의 저항이 수그러들지 않은 상황인 만큼, 국민의당 전당대회가 통합 과정에 가장 큰 고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추진협의체 출범회의에서 국민의당 이태규(왼쪽부터)·이언주 의원, 바른정당 정운천 최고위원, 오신환 원내대표가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추진협의체 출범 회의에서 국민의당 이태규(왼쪽부터)·이언주 의원, 바른정당 정운천 최고위원, 오신환 원내대표가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양당 통추협은 ▲국민의당의 이언주·이태규 의원과 ▲바른정당 오신환 원내대표, 정운천 최고위원이 참여해온 '2+2' 채널을 전환한 것이다.

통합 완료 시기에 대해서는 2월 안에 마무리를 짓는 것으로 양측이 공감대를 형성했으나, 정확한 시기는 이후 논의 및 각당 전당대회 진행 상황을 보면서 조율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합 방식으로는 '신설 합당'이 유력한데 단순히 두 당이 합치는 것보다는 새로운 정당을 만들어 두 당을 포함해 '더 넓은 3지대를 구축하자'라는 데에도 뜻을 모은 것으로 보인다.

​통추협은 ▲합당 의결을 위한 각 당 전당대회 시점과 ▲'통합전당대회'보다는 '신당창당결의대회' 등에 무게를 둔 정확한 출범 시기 등에 대한 조율 ▲통합 추진에 전권을 부여하는 '통합추진위원회(통추위)' 구성 여부도 주요 안건이 될 것으로 본다. 통합 완료 시기에 대해서는 2월 안에 마무리를 짓는 것으로 양측이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 넓은 3지대 구축과 신당창당결의대회 등은 향후 새 정당의 지도 체제 논의와도 연결된다.

바른정당 오 원내대표는 YTN라디오에서 "신당을 창당하는 과정에 시간이 필요하다. 2월 말 안으로 창당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오 원내대표는 라디오에서 "단순히 지분을 나눠먹는 형식이 된다면 국민이 여기에 동의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외부의 개혁 세력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새로운 방식의 신당이 출현돼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

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추진협의체 출범회의에서 양당 의원들이 통합 논의를 하기에 앞서 손을 맞잡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당 이태규, 이언주 의원, 바른정당 정운천 최고위원, 오신환 원내대표[사진=연합뉴스]
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추진협의체 출범 회의에서 양당 의원들이 통합 논의를 하기에 앞서 손을 맞잡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당 이태규, 이언주 의원, 바른정당 정운천 최고위원, 오신환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국민의당 이언주 의원은 언론과의 통화에서 "설 연휴(2월15일) 이전에 통합을 하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오 원내대표는 라디오에서 "단순히 지분을 나눠먹는 형식이 된다면 국민이 여기에 동의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외부의 개혁 세력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새로운 방식의 신당이 출현돼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더 넓은 3지대 구축과 신당창당결의대회 등은 향후 새 정당의 지도 체제 논의와도 연결된다.

양당 내부 일각에서는 새 지도부와 관련, 경선이나 선출 방식이 아닌 '추대' 방식으로 하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새로운 지도부를 최대한 원만하게 선출할 필요가 없다"라며 "현실적으로 전국을 돌며 지도부 경선을 할 여력도 없다"라고 설명했다.

바른정당의 핵심 관계자 역시 사견을 전제로 "합치자마자 계파 싸움을 할 필요가 있느냐. 경선 방식이 아니라 '창당결의대회'라는 이름으로 박수를 치며 새 지도부를 추대하는 방식이 돼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양측의 대표가 나와 2인 공동대표를 맡는 방법도 있지만, 제3세력 전체를 포괄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외부에서 중량감 있는 인사를 모셔와서 3인 공동대표 체제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