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부터 가시적 피해...지자체 모든 수단 강구해야"

[충청헤럴드 대전=박종명 기자] 허태정 대전시장이 21일 '코로나19'와 관련, 내수 진작과 고용안전망 구축 등을 내용으로 한 2차 비상 경제대책의 방향을 발표했다.
허 시장은 이날 오전 온라인 시정브리핑에서 “1929년 대공황보다 더 심각할 것으로 전망되는 코로나19의 피해는 당장 2분기부터 가시적인 피해로 나타날 것”이라며 “정부의 대책을 기다리기보다 우선 지자체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가라앉은 지역경제에 새 활력을 불어 놓고 줄어든 일자리를 회복시키는 것은 대전시의 의무이자 책임”이라며 “지금부터 올 하반기에 추진할 경제와 민생 살리기가 핵심 정책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차 비상 경제대책은 ▲지역경제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내수 진작 및 경기 부양사업 ▲고용절벽 극복을 위한 고용안전망 구축에 중점을 뒀다.
시는 ‘내수 진작과 경기 부양’을 위해 ▲코로나19 직접 피해 소상공인 지원 ▲한계 소상공인에 대한 재기 지원 ▲지역화폐를 활용한 소비 촉진 방안 등 가계와 기업, 소상공인의 가처분소득 증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벌일 방침이다.
또 100억 원 이상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에 대한 조기 집행과 신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발굴, 국비 유치도 조속히 진행할 계획이다.
‘고용 불안 해소’를 위해서는 민간 부문의 일자리를 유지하고 창업 등을 통한 일자리 확대, 공공근로 사업을 통해 고용안전망을 확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대전형 상생 모델인 ‘좋은 일터 사업’의 확대 발굴과 실업자와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 근로사업 확대, 무직자 인턴 지원사업 등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대책은 단기(4월 이후)와 장기(6월 이후)로 나눠 ▲세출 구조조정 ▲취약계층 추가 지원 ▲소비 진작 내수활성화 ▲사회간접자본(SOC) 등 재정 투자 ▲기업지원 플랫폼 ▲고용안전망 구축 등 6대 전략이 제시됐다.
허 시장은 “포스트(post) 코로나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정리해 다음 주부터 경제활력 후속 대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전형 긴급재난생계지원금은 20일 기준 20만 건의 온라인 신청이 이뤄져 이 중 3만 5000여 건을 처리, 9000여 명에게 37억 원을 카드로 발급한 것으로 집계됐다.
허 시장은 이와 관련, “현재 신청자가 몰려 처리 과정이 다소 지연되고 있지만 내달 중순까지 지급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지역에서는 모두 39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이 중 26명이 완치되고 13명이 입원 치료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