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 국가 정체성과 국민 통합 고려해 '안중근체'로 교체
현판 5월, 헌시비 6월~7월 교체
현판 5월, 헌시비 6월~7월 교체

[충청헤럴드 대전=박종명 기자] 국가보훈처는 국립대전현충원에 설치된 전두환 전 대통령이 쓴 현판을 5월 중 교체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부터 교체 요구가 있었던 현판과 헌시비는 1985년 대전현충원 준공을 기념해 당시 대통령이었던 전두환 전 대통령의 글씨를 받아 제작된 후 35년째 관리해온 시설물이다.
국가보훈처는 역사·문화재·보훈·법률 분야 등 각계 전문가 의견과 자문을 통해 국립묘지가 갖는 국가 정체성과 국민 통합의 상징성을 고려해 대전현충원과 국가유공자의 영예를 높이기로 결정했다.

국가보훈처는 기존 현판 위치에 새로 제작한 현판을 설치하고, 아울러 헌시비도 교체할 예정이다.
신규 현판과 헌시비의 서체는 지난해 안중근 의사 의거 110주년을 기념해 제작된 ‘안중근체'로 교체할 예정이다.
안중근체는 안중근의사기념관·저작권위원회에서 안중근 의사가 자필로 쓴 '장부가' 한글 원본의 자소를 발췌해 개발한 것으로 지난해 10월 안중근 의사 의거 110주년 기념식에서 공개됐다.

헌시비는 재료 준비 등의 제반 시간을 고려, 6~7월께 교체할 계획이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공헌한 분들을 안장하는 마지막 예우 장소인 국립묘지가 앞으로 국민의 마음에 보다 다가갈 수 있도록 엄중히 시설물을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