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필요한 정책은 ‘대출·보증지원 확대’

[충청헤럴드 대전=이경민 기자] 코로나19 대응 정부 정책과 관련해 소상공인의 60% 이상이 정부지원사업을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중앙회는 18일 도소매·음식·숙박·기타서비스업 소상공인 500개사를 대상으로 4월 27일부터 8일까지 ‘코로나19 관련 소상공인 정책과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의 지원 사업을 활용하지 않은 소상공인은 61.4%로, 미활용 사유로는 ▲지원책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함(44.3%) ▲신청 방법 및 서류 작성이 까다로움(24.8%) 등의 순으로 답했다.
올해 정부 지원 사업을 활용한 소상공인은 38.6%였으며 ▲노란우산공제(32.2%) ▲제로페이(6.6%) ▲일반경영안정자금(3.2%) ▲1인 자영업자 고용보험료 지원(1.0%) 등의 순으로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금융 지원을 활용한 소상공인(전체의 18.4%)의 92.3%는 정부의 금융지원이 사업에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특히 종업원이 없는 ‘1인 소상공인’의 경우 응답자 전원(100%)이 도움이 됐다고 답변했다.
소상공인 정책 방향에 대한 질문과 관련, 현재 소상공인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책으로 ▲세(稅) 부담 완화(61.4%) ▲자금 지원 확대(58.4%) ▲소상공인 제품·서비스 소비촉진(9.6%)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드러나 소상공인의 고질적 애로인 자금난에 대한 추가적인 관심과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소상공인 정책방향으로 ▲신용·체크카드 소득공제 확대 등 소비촉진 지원책 확대(43.4%)가 가장 많았고, ▲세금 투입을 통한 한계기업 지원 확대(35.2%) ▲대기업의 소상공인 영역 진출을 제한하는 규제 및 감독 강화(9.2%) 등을 꼽았다.
21대 국회가 소상공인을 위해 가장 먼저 통과시켜야 할 법안으로는 ▲상가 임대료 부담 완화(43.0%) ▲골목상권 및 중소기업 사업영역 보호(41.4%) ▲소상공인 사회안전망 확대(35.0%), 최저임금·근로시간 단축 보완(28.2%) 등의 순으로 답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소상공인들은 자금난 해소, 소비 촉진 등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시행을 요구하고 있는 만큼 코로나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상황 변화에 맞는 적절한 대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