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찬반 팽팽한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사실상 백지화...
찬반 팽팽한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사실상 백지화...
  • [충청헤럴드=송준호 기자]
  • 승인 2018.01.10 10: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자 병기 확대 논란을 빚는 초등 교과서 한자 표기 기준이 사실상 폐기된다.

다만, 교과서 편집 지침인 '편수 자료'에 초등학생용 한자를 포함해 기준을 제시하는 대신 지금처럼 집필자 판단에 맡기기로 했다.

그러나 정책의 방향성을 떠나 찬반 양론이 팽팽하고 학부모 관심이 큰 정책을 폐기하면서 제대로 공개하지 않은 점은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자 병기 확대 논란을 빚는 '초등 교과서 한자 표기 기준이 사실상 폐기된다. [사진=연합뉴스]

10일 교육부 누리집에 따르면 작년 12월 27일 교육부가 게시한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편수 자료' 수정판은 한문 수업에 적합한 교육용 기초 한자로 중·고교용 한자 1천800자를 소개했다.

그러나 그간 선정됐던 초등학생용 한자 300자는 수록하지 않았다.

교육부 남부호 교육과정정책관은 "집필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현행 교과서에도 한자를 병기할 수 있고 새 교과서도 마찬가지"라며 "다만, 전 정부에서 선정한 300자를 교과서에 활용하도록 하는 부분은 논란이 커 포함하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그러면서 애초 교과서 활용 기준으로 제시하기 위해 골라놓은 이 300자는 무분별하게 이뤄지는 창의적 체험활동 한자 교육의 기준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2014년 교과서와 수업·평가 방식, 수업 내용 등의 기준이 되는 '교육과정'을 개정(2015 개정 교육과정)하면서 초등학교 교과서에 한자 병기를 공식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2016년 말 주요 한자 300자를 선정했다.

현재 초등학교 5∼6학년이 쓰는 교과서에도 한자 48자가 들어가 있지만 정부가 300자를 선정하면서 사실상의 한자 병기 확대 정책이라는 일부 비판도 있다.

시민단체들은 초등교육 수준에 적합하지 않은 한자가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늘릴 것이라며 반발했다.

그러나 다른 쪽에서는 우리 말에 한자가 많이 쓰이는 만큼 한자 병기로 아이들의 사고력·언어 능력을 키울 수 있고, 시험에 포함되지 않아 학습 부담도 크지 않다고 주장했다.

남부호 정책관은 이에 대해 "편수 지침을 그대로 둔 것이므로 변한 것이 없다"라며 "바뀐 것이 없어 특별히 발표하지 않은 것뿐"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