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MB)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라는 의혹이 제기된 다스에 대해 정호영 전 BBK 의혹 사건 특별검사가 "다스의 120억 원 횡령 의혹이 제대로 수사되지 않은 것은 검찰의 책임"이라며 반박에 나섰다.
그는 14일 오후 3시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의 한 아파트 상가 5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자신은 특검 종료 이후 120억 원 횡령 건을 검찰에 정식으로 인계했으며 MB의 관련 여부에 대해서도 철저히 수사했다"라고 주장했다.
![정호영 전 'BBK 의혹사건' 특별검사가 14일 오후 서울 서초구 한 아파트 상가 5층 회의실에서 해명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정 전 특검은 앞서 이명박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로 의심받는 자동차 부품회사 다스의 '120억원 횡령' 정황을 파악하고도 제대로 후속 수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검찰에 고발됐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1/1791_2084_5920.jpg)
이어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의 수사 미진으로 인해 BBK 의혹 사건 특별검사가 출범한 것"이라며 "이후 120억 원을 찾아내 관련 수사 기록을 인계했으므로 검찰은 이 기록을 살펴보고 미진한 점과 해야 할 일을 검토하는 게 본연의 업무였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검찰은 두 번에 걸친 수사에도 불구하고 부실 수사를 하여 BBK 의혹 사건 특검을 초래했음에도 특검에서 기록을 인계받은 뒤 기록을 전혀 보지 않았다는 전혀 납득할 수 없다는 주장을 한다"라고 섭섭해 했다.
이어 "검찰은 특검에서 넘겨받은 사건에 대해 검토 후 다스 여직원의 개인 횡령에 대해 입건해 수사할 것인지, 피해 복구가 됐으므로 입건하지 않을 것인지 판단해 그 판단에 따라 일을 해야 했을 것"이라며 "이것을 하지 않은 것은 오히려 검찰의 직무유기"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BBK 특검은 BBK 특검 수사 대상 사건을 수사하던 중 특검 수사 대상이 아닌 범죄 사실을 발견한 것"이라며 "이를 입건해 수사할 권한이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앞서 공개한 자료 외에 당시 생성된 상당수의 자료를 파일 형태로 보관하고 있다"라며 "계속 의혹이 제기된다면 보관하고 있는 자료를 앞으로도 추가로 공개하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정 전 특검은 BBK 특검 수사 도중 이명박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로 의심받는 자동차 부품 회사 다스의 '120억 원 횡령' 정황을 파악하고도 공개 없이 검찰에 인계하는 등 후속 조치를 소홀히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앞서 참여연대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등은 다스 실소유주와 정 전 BBK 특검을 검찰에 고발했다.
서울동부지검 '다스 횡령 등 의혹 고발 사건 수사팀'은 곧 정 전 BBK 특검팀 관계자들을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