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의회에서 현대의 유성구 용산동 관광 휴양 시설 용지 개발 제안은 대규모 아웃렛 시설을 입점시키려는 계획일 뿐 호텔 및 컨벤션 시설은 구색 갖추기용밖에 안 된다며 사업 재검토를 촉구하고 나섰다.
대전시의회 김경시 의원은 15일 대전시의회 임시회에서 "유성구 용산동 관광 휴양 시설 용지 개발과 관련해 현대 측의 변경안도 호텔과 컨벤션센터 면적에 비해 전체 개발 면적에서 아웃렛 등 판매 시설이 차지하는 면적이 여전히 높아 당초 대전시가 의도하고 계획한 관광 휴양 시설 용지의 목적에 맞지 않는다"라고 주장했다.
또 "지역 상생 발전을 위한 지역 상생 협력 기금 60억 원도 우리 지역에서 벌어갈 수천억 원에 비하면 생색내기밖에 되지 않는 수준"이라며 "지역 소상공인들을 비롯한 대전의 시민단체들 역시 현대 측의 개발 제안은 대규모 아웃렛 시설을 입점시키려는 계획일 뿐 호텔 및 컨벤션 시설은 구색 갖추기용밖에 안 된다며, 사업 재검토를 촉구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번 현대 측 제안이 당초 관광 휴양 시설 용도에도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상공인 보호를 위해 대규모 점포와 SSM 규제를 강조하는 대전시 정책과도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라면서 “현재 우리 대전은 대전을 대표할 만한 관광 휴양 시설이 부족한 실정으로 용산동 부지는 당초 계획한 대로 관광 휴양 시설 용지 목적에 부합되게 개발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 “현대백화점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유통기업이자 굴지의 대기업으로, 용산동 관광 휴양 시설 용지는 현대백화점이 지닌 막대한 자본력을 활용하여 아웃렛이 아닌 대전의 미래 관광산업을 이끌어 나갈 대규모 관광 휴양 위락 시설로 개발되어야 한다”라면서 “지역 곳곳에서 들리는 용산동 현대 아웃렛 부지에 대한 걱정의 목소리를 외면하지 말고, 다가올 미래의 대전 관광산업을 이끌어 나갈 대표적인 랜드마크로 개발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달라”라고 당부했다.
한편, 작년 말 도시 계획·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거쳐 세부개발계획 변경 결정 고시를 앞두고 있는 용산동 관광 휴양 시설 용지 개발은 교통 영향 평가와 건축 계획 심의 등 통합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유성구 건축 허가만 남아 있어 올 상반기에는 착공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