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제천 화재 진상 규명에 발 벗고 나선 경찰
제천 화재 진상 규명에 발 벗고 나선 경찰
  • [충청헬럴드=이성철 기자]
  • 승인 2018.01.15 13: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로 29명이 희생된 참사와 관련, 경찰이 15일 충북도소방본부와 소방종합상황실, 제천소방서에 대한 전격 압수수색에 나섰다.

충북경찰청 수사본부는 이날 오전 10시 현재 이들 3곳에 수사관 24명을 보내 압수수색을 하고 있다.

제천 화재 당시 진화와 구조를 담당했던 제천소방서의 경우 12명의 수사관이 소방서장실, 소방행정과, 대응구조과, 예방안전과, 중앙119안전센터 등에서 압수수색 대상 사무실 문을 잠가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한 뒤, 제천 화재 관련 서류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복사본 등을 확보했다.

충북지방경찰청 수사본부가 29명의 목숨을 앗아간 제천 화재 참사와 관련 제천소방서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한 15일 오전 제천소방서 소방대원들이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충북지방경찰청 수사본부가 29명의 목숨을 앗아간 제천 화재 참사와 관련해 제천소방서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한 15일 오전, 제천소방서 소방대원들이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경찰은 입수한 소방 자료를 토대로 화재 당시 소방당국의 초기 대응 과정에 문제가 없었는지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경찰은 화재 참사 당시 늑장 대처로 물의를 빚고 있는 소방대의 법적 책임을 따지고자 수사를 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이번 주 중 초동 현장 지휘가 미흡했다는 비판을 받아온 제천소방서장 등 지휘관들을 줄줄이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앞서 유가족대책위원회는 지난 8일 화재 발생 원인과 인명 구조 초기 대응 과정을 밝혀달라며 경찰에 수사 촉구서를 제출했다.

대책위는 수사 촉구서에서 ▲소방당국의 상황 전파 ▲2층 진입 지연 이유 ▲초기 대응 적절성 여부 ▲LPG탱크 폭발 가능성 ▲무선 불통 이유 등과 관련해 의혹을 제기하며 진상 규명을 요구했다.

충북지방경찰청 수사본부가 29명의 목숨을 앗아간 제천 화재 참사와 관련 제천소방서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한 15일 오전 제천소방서 소방대원들이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시진=연합뉴스]
충북지방경찰청 수사본부가 29명의 목숨을 앗아간 제천 화재 참사와 관련해 제천소방서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한 15일 오전, 제천소방서 소방대원들이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시진=연합뉴스]

소방합동조사단도 최종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적절한 상황 판단으로 화재 진압 및 인명 구조 지시를 내렸어야 할 현장 지휘관들에게 문제가 있었다고 인정했다.

소방청은 지휘 책임과 대응 부실, 상황 관리 소홀 등의 책임을 물어 충북소방본부장을 직위 해제하고, 제천소방서장 등 지휘관 3명의 중징계를 요구하기도 했다.

경찰은 유족들이 수사를 요구한 상황에서 대응 부실을 인정하는 소방당국의 자체 조사 결과가 발표된 만큼 현장 지휘관들에게 업무상 과실치사상이나 직무유기 혐의 적용이 가능한지를 검토하고 있다.

지난 12일에는 최초 출동한 제천소방서 소속 소방관 6명에 대한 경찰의 참고인 조사를 했다.

경찰 관계자는 "소방서로부터 관련 서류를 임의 제출받는 방법도 있지만 국민적 관심이 큰 사안인 데다 유족들이 의혹을 제기하고 있어 신뢰와 공정성 확보 차원에서 압수수색을 했다"라고 설명했다. 제천소방서 직원들은 "1979년 개청 이래 처음 겪는 압수수색"이라며 취재기자들에게 "너무 힘들다 나가달라"라고 요청하는 등 침통한 분위기였다.

앞서 지난해 12월 21일 발생한 제천 스포츠센터 대형 화재에서는 29명이 숨지고, 39명이 부상을 당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