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경단녀'도 추납으로 국민연금에 재가입할 수 있다
'경단녀'도 추납으로 국민연금에 재가입할 수 있다
  • [충청헤럴드=배태호 기자]
  • 승인 2018.01.17 10: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결혼과 육아 문제로 다니던 직장을 그만둔 이른바 경력단절 전업주부(경단녀) 등 무소득 여성들이 '추후 납부(추납)'를 통해 국민연금에 다시 가입할 수 있게 된 데 이어 가입 기간을 더 늘릴 수 있게 돼 수급권이 훨씬 강화된다.

17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무소득 배우자의 국민연금 추납 가능 기간을 확대하는 내용의 국민연금법 개정안이 오는 25일부터 시행된다.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고 가사와 육아에 전념하던 무소득 배우자도 2016년 11월 30일부터 추납으로 국민연금에 다시 가입해 노후대비가 가능하다.

추납은 휴·폐업이나 실직에 따라 연금 보험료를 내지 못하는 경우 납부 예외를 신청했다가 여유가 생기면 보험료를 추후 낼 수 있게 한 장치로 기존에는 납부 예외자(의무 가입자가 소득이 없는 등의 사유로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는 경우) 등만 추납할 수 있었다.

경단녀는 '적용 제외자'로 분류돼 이전까지는 추납할 수 없었으나, 앞으로는 국민연금법 시행령 개정으로 무소득 배우자도 과거 보험료 납부 이력이 있으면, 추납할 수 있게 된다.

문제는 그간 낸 보험료를 반환일시금으로 이미 받아서 가입 자격을 잃은 무소득 배우자가 반환일시금을 국민연금공단에 다시 돌려주고 가입 자격을 회복해 추납하려고 해도, 그간 반환일시금을 반납한 이후의 적용 제외 기간에 대해서만 추납할 수 있을 뿐이었다는 점이다.

반환일시금 반납 이전의 적용 제외 기간은 추납할 수 없었다.

국민연금 가입 기간에 대해서도 그만큼 많이 늘릴 수 있다는 얘기다.

국민연금은 최소 가입 기간(10년)을 채워야 연금 형태로 받을 수 있으며, 가입 기간이 길수록, 불입 보험료가 많을수록 많은 연금액을 수령할 수 있다.

추납은 최대 60회에 나눠 낼 수 있다. 추납을 이용하려면 국민연금 보험료를 한 번이라도 낸 적이 있어야 한다. 또한, 전 국민의 국민연금 가입이 의무화된 1999년 4월 이후의 기간에 대해서만 추납이 가능하다.

개정안은 이들 무소득 배우자가 반환일시금 반납 이전 최초 국민연금에 가입해 보험료를 낸 이후에 발생한 적용 제외 기간에 대해서도 추납할 수 있게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