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대덕특구 한국판 뉴딜의 메카로 조성"
충남도 "서산 간척지에 그린 바이오 스마트시티 조성"

[충청헤럴드 대전=박기원 기자] 대전시와 충남도가 28일 ‘한국판 뉴딜’의 중심을 선언하고 국가 균형 발전을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대전시는 28일 오후 대전시청에서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주관으로 열린 ‘지역균형 뉴딜 충청포럼’에서 ▲디지털 뉴딜 ▲ 그린 뉴딜 ▲안전망 강화 ▲균형발전 뉴딜 등 4개의 분야별 핵심 과제를 확정하고 ‘충청권 지역 균형 뉴딜’을 선도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유득원 대전시 기획조정실장은 “코로나 19를 비롯한 감염병의 확산과 기후 변화, 글로벌 경제위기 등 사회 혁신을 위한 공공 기능의 강화 필요성이 나날이 제기되고 있다”며 “시가 앞장서 ‘스마트 그린시티’를 구축하는 등 지역균형 뉴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유 실장은 가장 먼저 ‘디지털 뉴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대덕특구를 재창조해 한국판 뉴딜의 메카로 만들고 드론, 인공지능(AI), 5G 등 무선 통신 융합산업을 육성해 지역 특화형 미래 산업을 개발하겠다”고 역설했다.
이어 “대전은 전국 최초로 트램 시스템을 도입해 친환경 교통 체계를 구축하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며 “갑천·유등천·대전천 등 도심 속 하천을 명소화해 지속 가능한 스마트 그린시티 선도 모델을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또 “새로운 시대에 미래 공동체를 형성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며 “대전-세종-충청을 어우르는 과학 기술 기반의 클러스터를 구축해 지역 상생 발전의 롤모델을 창출하겠다”고 덧붙였다.
충남도는 충남형 뉴딜로 ‘그린 바이오 스마트시티’를 제안했다.
양 지사는 “민간기업과 협력해 최첨단 인공지능 기술과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 신재생 에너지 기반의 그린 바이오 스마트 시티를 구축할 것”이라며 “이곳에 첨단 농업 바이오 단지와 6차 농산업 융복합단지를 조성하고 디지털 기반의 미래도시를 구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충남 그린 바이오 스마트시티는 6100억 원을 들여 서산 간척지 일원에 빅데이터, 클라우드, 모빌리티, 드론 등 첨단 기술을 반영한 도농복합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양 지사는 충청권이 연계 추진을 준비 중인 초광역 협력사업으로 '금강 1000리 경관 가꾸기' 사업을 제안하며 "경관 조성으로 관광자원을 새롭게 개발해 생태 체험 공간을 확보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강 1000리 경관 가꾸기는 7880억 원을 들여 금강이 흐르는 충청권 4개 시도가 경관길 조성, 경관 거점 명소화 등을 함께 추진하는 사업이다.
김사열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은 이날 "충청권의 역할이 확대되는 충청 지역에서 한국판 뉴딜을 지역 주도로 추진하기 위해 마련한 지역균형 뉴딜 충청포럼을 뜻 깊게 생각한다"며 "한국판 뉴딜이 지역 소멸에 대응하고 지역 균형 발전 정책과 필수적으로 연결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