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헤럴드 세종=박종명 기자] 세종시 지정 기념물 4호인 이성산성이 백제 시대에 축조돼 신라가 점령한 뒤 증축된 것으로 추정됐다.
세종시와 한성문화재연구원(원장 김병희)는 6일 전의면 신방리 이성산성(李城山城) 시굴 조사 현장에서 전문가 자문회의 및 현장설명회를 갖고 정상부 일대와 동벽 구간에 대한 시굴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이성은 백제가 처음 축조한 후 신라가 점령했으며, 2차례 이상 성벽을 고쳐 쌓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바깥쪽 성벽은 고려 개국공신인 이도(李棹)와 관련된 성벽으로 추정됐다.
바깥쪽 성벽의 높이는 약 8m 정도로 높게 쌓고 지형에 따라 사용된 성들의 크기와 형태를 다르게 조성했다.
동쪽 안쪽 다짐층에서는 백제토기와 기와편 등이 출토돼 이성을 처음 축조한 국가는 백제일 것으로 추정됐다.
성내 정상부 일대는 4단으로 이뤄진 다중 평탄지가 확인됐고 각 평탄지마다 석축을 쌓아 구획한 흔적이 발견됐다.
또 가장 아래쪽의 1단에는 다각 건물지, 2단은 저장시설, 3단은 지하 저수시설, 가장 위쪽의 4단은 장대지를 배치했으며, 각 평탄지는 용도에 따라 공간의 구획과 면적을 다르게 조성했다.
특히 정상부 일대에서 6~7세기 백제와 신라의 유물들이 다양하게 출토돼 이성이 위치한 세종시 일대를 두고 백제와 신라 양국이 치열하게 공방전을 벌였을 것으로 추정됐다.
이칠복 관광문화재과장은 "이성은 삼국시대 격전지로 중요한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화재"라며 "앞으로 연차적으로 발굴조사를 벌여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