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역린 건드렸나', 노기 띠고 MB에 직공...왜?=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전날 이명박(MB) 전 대통령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정치보복'이라고 밝힌 데 대해 정면 대응하고 나섰다.
![문재인 대통령[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1/1898_2223_170.jpg)
그러나 MB 측은 문 대통령의 반박에 일절 대응하지 말라고 측근들에게 자제를 시켰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이명박 전 대통령이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을 직접 거론하며 정치보복를 운운한 점에 대해 분노의 마음을 금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박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 전 대통령이 마치 청와대가 정치보복을 위해 검찰을 움직이는 것처럼 표현한 것에 대해 ‘이는 우리 정부에 대한 모욕이며, 대한민국 대통령을 역임하신 분으로서 말해서는 안 될 사법 질서에 대한 부정이고 정치의 금도를 벗어나는 일’이라고 말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이 검찰 수사와 맞물려있는 국내 정치적 문제에 대해 직접 의견을 표명한 것은 취임 이후 처음이다. 특히 불과 200자 가량의 두 문장짜리 입장문이지만, MB가 현 정부의 적폐청산과 관련해 검찰이 자율적으로 하는 수사를 '정치보복설 제기'로 언급한 것에 대한 노기(怒氣)를 띤 강경 어조의 메시지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18일 오전 춘추관 대브리핑 실에서 지난 17일 있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 성명에 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1/1898_2225_2141.jpg)
무엇보다 청와대는 전날 MB의 성명 발표에 "노코멘트"라며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지만, 만 하루도 지나지 않아 문 대통령이 이날 오전 참석한 현안 점검회의에서는 직접 반박하면서 강경 대응 입장으로 바뀌었다.
문 대통령의 이런 반응에는 검찰 수사를 친구인 노 전 대통령의 죽음과 연계한 것에 대한 인간적인 분노와 불쾌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물론 '친노무현(친노)'계를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노 전 대통령의 비극적 선택의 배경에 이명박 정부의 '무리한' 검찰수사가 있었다는 인식이 강하다. 이 때문에 이 전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의 이름을 직접 거명한 것은 문 대통령으로서는 더는 참기 힘든 모욕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이에 따라 MB를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가 더욱 힘을 받게 될 전망이며, 조만간 이 전 대통령이 검찰에 직접 출석하는 상황도 충분히 예상할 수 있게 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1/1898_2224_2025.jpg)
앞서 MB는 전날 서울 강남구 삼성동 사무실에서 발표한 성명에서 검찰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 의혹 수사와 관련해 "적폐청산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고 있는 검찰 수사에 대해 많은 국민들이 보수 궤멸을 겨냥한 정치공작이자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정치보복이라고 보고 있다"라며 현 정부를 강하게 비난했다.
한편 MB는 자신의 전날 '정치보복 성명서'를 강력하게 비판한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 측근들에게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말라"라고 지시했다.
MB는 이날 강남구 삼성동 사무실에 출근한 뒤 문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보고를 받고 측근들에게 이같이 말했다고 이 전 대통령 측이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왼쪽)과 이명박 전 대통령[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1/1898_2230_1159.jpg)
이미 성명서를 통해 문재인 정부의 적폐청산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충분히 설명한 만큼 굳이 또 다시 반박 입장을 내놓음으로써 현직 대통령과 추가적인 충돌을 야기할 필요는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MB 측은 국가정보원의 특수활동비 가운데 일부가 이 전 대통령의 부인 김윤옥 여사의 명품 구입 비용 등으로 사용됐다는 여권의 주장에 대해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인 권양숙 여사 프레임으로 김 여사를 엮으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