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내포신도시 쓰레기집하시설 애물단지 전락 우려
내포신도시 쓰레기집하시설 애물단지 전락 우려
  • 박종명 기자
  • 승인 2020.11.18 17: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한일 충남도의원 "관리 주체 이원화, 막대한 비용 소요"
"충남도와 충남개발공사가 책임져야"
감사원도 '자동집하시설 설치사업 추진 부적정' 통보
내포신도시에 조성 중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이 운영비의 과다 등으로 애물단지로 전락할 ㅎ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내포신도시에 조성 중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이 운영비의 과다 등으로 애물단지로 전락할 ㅎ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충청헤럴드 홍성=박종명 기자] 내포신도시 쓰레기 집하시설이 막대한 운영비와 관리 주체의 이원화 등으로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방한일 충남도의원(예산1·국민의힘)에 따르면 내포신도시 쓰레기 집하시설은 깨끗하고 쾌적한 신도시 조성과 주민 삶의 질 향상, 생활폐기물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 2010년 실시설계를 마쳐 현재 9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시설은 내포신도시 계획인구인 10만 명에 맞춰 일일 폐기물 수거량 70t을 기준으로 966억 원을 들여 현재까지 집하장 2개소, 40.2km의 관로, 일반폐기물 투입구(대·소형) 360개. 음식물폐기물 투입구 233개 등이 설치됐다. 

그러나 사업이 완료되는 2023년부터 시설의 관리 주체가 예산군과 홍성군으로 이관될 경우 폐기물 처리나 관로 부식에 따른 시설 운영비와 인력의 중복 투입으로 예산 낭비가 우려된다는 것. 

자동집하시설 집하 체계
자동집하시설 집하 체계

특히 정부 정책에 따라 일반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를 따로 배출하더라도 운송 도중 보관 용기가 찟기거나 훼손되면 쓰레기가 혼입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작은 고장과 악취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방한일 의원은 "기존 수거 방식으로 운영(6억 원, 인구 3만 명, 하루 쓰레기 발생량 21t 기준)할 때보다 4배나 더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다른 지자체도 높은 운영비로 설치만 해놓고 애물단지가 된 사례가 적지 않은 만큼 충남도와 사업 시행자인 충남개발공사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 의원은 제325회 정례회에서 쓰레기 자동 집하시설 건설 공사와 관련해 도정 질의에 나설 예정이다. 

감사원도 충남도에 대한 기관 정기감사에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설치사업 추진이 부적정하다고 지적했다. 

감사원은 "자동집하시설 운영 상 일반쓰레기와 분리해 집하하거나 재활용이 곤란한 음식물쓰레기에 대해 '쓰레기 수수료 종량제 시행 지침'을 준수할 수 있도록 별도의 수거 방안을 마련하는 등 현행 쓰레기 집하 방식을 전면 재검토할 것"을 통보했다. 

또 "건축주에게 활용 가능성이 저조한 음식물쓰레기 투입구를 설치하도록 불필요한 부담을 부과하는 '충남도청(내포) 신도시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을 개정하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