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4대강 자료 파기 논란의 水公, 진실공방의 끝은?
4대강 자료 파기 논란의 水公, 진실공방의 끝은?
  • [충청헤럴드=배태호 기자]
  • 승인 2018.01.19 21: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수자원공사(수공)의 4대강 기록 문서 파기 의혹을 둘러싸고 국가기록원과 국토교통부가 19일 대전시 대덕구 한국수자원공사 대전 본사를 찾아 현장 조사를 벌였다.

원본 대조작업을 위해 바닥에 널브러진 수자원공사 문서.[사진=연합뉴스]
원본 대조 작업을 위해 바닥에 널브러진 수자원공사 문서 [사진=연합뉴스]

국가기록원 직원 9명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수공 본사 공터에 널브러진 파기 기록물 실태를 점검했다.

국토부 역시 김현미 국토부 장관의 지시로 감사에 착수, 감사반 6명을 보내 현장을 점검하고 사실 관계를 확인했다.

수공은 현장 조사를 위해 전날 파쇄업체에 반출했던 문서 4t가량을 다시 되가져왔다.

국토부·국가기록원, 수자원공사 문서 파기 현장점검 [사진=연합뉴스]
국토부·국가기록원, 수자원공사 문서 파기 현장 점검 [사진=연합뉴스]

국가기록원과 국토부는 수공이 파기하려 한 문서를 일일이 확인하며 원본이나 원본에 가까운 문서를 1차로 확보하는 데 집중했다.

문서는 업무 내용별로 구분돼 바닥에 널브러진 채 있었으며 수도 요금 체계와 부채 상환 계획, 청렴도 평가 자료, 4대강 관련 대통령 업무 보고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수공은 1997년 이후 모든 문서를 전자 문서화해 보관 중이다.

수공은 이번에 문서 파기 논란이 일자 "모든 문서는 전자 문서로 저장하고 있으며, 이번에 파기한 담당자들이 참고하기 위해 출력한 복사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파기하려던 문서 가운데 원본 문서가 들어가 있거나 보존 기간을 지키지 않은 것도 일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기록원은 위법 사항이 확인되면 감독 기관에 감사를 요청할 계획이다.

쓰레기 더미 속에서 문서 찾고 있는 수자원공사 직원들[사진=연합뉴스]
쓰레기 더미 속에서 문서를 찾고 있는 수자원공사 직원들[사진=연합뉴스]

국가기록원과 국토부의 현장 조사는 이날 오후 늦게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파쇄업체에 반출했던 수공 문서가 다른 문서 20t과 뒤섞여 되돌온 만큼 공사 문서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국가기록원은 이날 오후 3시까지 12상자 분량의 문서를 회수해 원본 대조 작업을 벌였다.

정연명 국가기록원 관리부장은 "문서 내용을 확인하지 않고 기록물관리법 위반 여부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라며 "문서 사본이 있더라도 원본을 파기하면 안 된다. 사본을 만들지 않고 고의로 원본을 파기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 중이다. 위법 사실이 발견되면 국토부와 협의해 법적인 절차를 검토하겠다"라고 말했다.

현장에 나와 있는 국토부 직원들도 문서 회수 작업을 지켜보며 국가기록원이 원본 대조 작업을 끝낸 문서 가운데 중요 문서가 포함됐는지를 살펴봤다.

수공 관계자는 "전체 4t가량의 문서 가운데 4대강 관련 자료는 일부분에 불과하고 이 마저도 원본이 그대로 보존돼있다"라며 "조직 개편에 따라 사무실을 옮기고 문서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일부 미숙한 점이 있었지만, 고의로 중요 자료를 파기하지는 않았다"라고 해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