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헤럴드 대전=박종명 기자] 대전지역 환경단체가 대전시가 벌이고 있는 3대 하천 준설 사업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대전환경운동연합은 1일 성명을 내고 "대전시는 원칙없는 3대 하천 준설사업을 중단하고 생태자연성을 보장하는 지속 가능한 하천 계획을 수립하라"고 요구했다.
이들 환경단체에 따르면 시는 지난 달 11일부터 3대 하천 대전천~대동천 합수부, 유등천~대전천 합수부, 유등천~가장교 하류 일원에서 '3대 하천 긴급하도복원공사'로 약 8만톤의 대규모 하천 준설을 하고 있다.
시는 3대 하천 일원 하천 퇴적토 및 지장 수목으로 인한 여름철 하천시설물 피해 발생 및 재해위험구간에 대해 긴급히 하도 복원 및 정비를 실시해 하천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고 시민의 안전을 회복하기 위해 준설 작업을 실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단체는 "이 준설 작업이 긴급하지도 않고 여름철 집중 강우로 인한 재해 복구나 하천 본래의 기능 회복을 위한 사업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삼천교와 한밭대교 구간(유등천~대동천 합수부)은 하폭이 넓어지는 지역으로 홍수로 인한 피해 발생이 일어날 확률이 극히 적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면서 "재해에 취약한 지역에 대한 긴급 준설이라면 상대적으로 여유고가 적은 갑천의 원촌교와 만년교 지점이 우선돼야 한다"며 "준설을 위해서는 집중 호우에 실제 고려할 만한 수위 확인이나 위험도를 평가한 후 해야 하지만 시는 구체적 근거 없이 '하천기본계획을 따른 방안'이라며 준설을 강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시가 하천기본계획대로 하천을 관리한다면 기본계획에 있지 않은 하천의 시설물 모두 철거해야 한다"며 "시가 준설을 계획하고 있는 27곳 모두 하천 횡단 시설물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환경단체는 "지금 필요한 것은 하천 횡단 시설물의 퇴적물 형성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라며 "구시대적인 방식의 준설을 당장 중단하고 생태환경르 보전하면서 재해 예방 기능도 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장기적 계획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