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MB) 전 대통령을 향한 수사가 측근들의 구속과 압수수색이 본격화되면서 검찰 소환이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기간이라는 변수가 있지만 올림픽 전이나 올림픽이 끝난 뒤 MB소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MB를 향한 관련된 검찰 수사는 크게 여러 갈래다.
그 하나는 ▲국정원 특수활동비(특활비) 의혹과 ▲다스 실소유와 비자금 의혹 ▲국정원 민간인 댓글 부대 ▲마지막으로 군 사이버사령부 불법 정치 개입 의혹이다.
이중에 가장 속도가 빠른 수사와 중량이 무거운 사건은 국정원 특수활동비 수사다.
최측근 중의 최측근인 김백준 전 기획관과 김진모 전 비서관도 나란히 구속돼 검찰 수사를 받고 있고,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김희중 전 제1부속실장이 "2011년 10월 이 전 대통령 미국 순방에 앞서 국정원에서 1억을 받아 일부를 달러로 환전해 김윤옥 여사 측에 전달했다"라고 진술해 진실 여부를 반드시 가려야하는 대목이다.
MB의 혐의를 입증할만한 결정적 진술이 언제 더 나오느냐가 소환 시기를 결정할 변수라는 게 법조계의 시각이다.
나머지 의혹의 수사 진행 속도도 중요 변수다.
전직 대통령을 여러 차례 소환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워 모든 의혹을 한꺼번에 추궁할 준비가 되면 MB를 소환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가 중대 행사인 평창올림픽 직전에 전직 대통령을 소환하는 것이 검찰로선 부담스러울 수 있어 올림픽을 마치고 소환할 거란 관측도 있다.
다만 결정적 진술로 수사가 빨리 마무리된다면 올림픽 이전에라도 소환할 수 있다는 예상도 없는 것은 아니다.
검찰은 '원칙대로 수사할 뿐'이라며 소환 시기에 대해선 말을 아끼는 가운데 MB가 언제 검찰 포토라인에 설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