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보호구역 교통신호기 및 무인 교통 단속 카메라 설치

[충청헤럴드 대전=박기원 기자] 대전시는 내년 1033억 원을 들여 대대적인 교통사고 감축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28일 시에 따르면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연간 40명 이하로 줄이기 위한 각종 사업에 1033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시는 교통 사망사고의 주요 요인을 야간 교통사고와 무단 횡단의 두 가지로 지목, 38억 원을 투입해 무단횡단이 빈번한 시설 68개소에 무단횡단 방지시설 등을 설치할 방침이다.
특히 시는 교차로 내 사망사고 중 61.4%를 차지하는 야간시간대 사고를 막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 442억 원을 들여 횡단보도 390개소에 집중 조명시설을 설치하고 노후 가로등 1400등을 전면 교체하하기로 했다.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첨단 교통시스템이 접목된 신규 사업도 실시한다.
시는 150억 원을 들여 2022년까지 자율주행 차량과 기지국, 또는 해당 차량 간의 교통정보를 공유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을 16개 주 간선도로 134km 구간에 설치할 예정이다.
이 밖에 왕복 6차로 이상 간선도로의 교차로 및 곡선 구간 등 위험지역 100곳에 좌회전 및 직진 차로의 ‘노면색깔 유도선(Color-lane)’을 설치하고 어린이 보호구역에 교통신호기와 무인 교통 단속 카메라를 설치하기로 했다.
한선희 교통건설국장은 “매년 70~80명의 시민이 교통사고로 숨지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무단횡단으로 인한 사고 제로화 등 교통사고를 줄이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차량 속도도 내년 4월부터 간선도로에서는 시속 50㎞로, 이면도로에서는 시속 30㎞로 규제하는 ‘안전속도 5030 정책’이 시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