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충남 지역 주택 시장이 신규 공급 물량 확대로 공급 과잉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28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본부장 김한수) 김경근 과장과 이현우 조사역이 작성한 '최근 대전·충남 지역 주택 시장 여건 점검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대전·세종·충남 지역 주택 시장은 공급이 크게 느는 반면 수요가 둔화된다면서 이같이 결론을 내렸다.
이는 정부의 부동산 안정화 정책과 주요 구매 계층 증가세 둔화 등으로 수요가 약화하는 가운데 신규 공급 물량 확대로 공급 과잉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조사다.
![한은 대전충남본부는 주택공급확에 대비해 수요둔화로 공급과잉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세종시 첫마을 [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1/2034_2447_5916.jpg)
세종(4.3%)은 작년 정부 행정기관 추가 이전 기대감 등으로, 대전(1.5%)은 수급 불균형 등으로 각각 상승했지만, 충남(-0.5%)은 공급 과잉에 따른 미분양 적체 등으로 전년에 이어 하락세를 지속했다.
지난해 8월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이후에는 세종은 상승세가 둔화한 데 비해 대전은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했다. '벌집 순환모형'에 의한 주택경기순환 추정 결과 현재 지역 주택 시장은 거래량이 줄고 가격은 상승 폭이 제한되거나 하락하는 순환국면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이 모형은 주택 시장이 거래량과 가격 변수에 영향을 받고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한다는 이론으로 주택경기순환 국면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대전은 제2 국면에서 제3 국면(거래량↓, 가격 상승 제한)으로 이행하고, 충남은 제4 국면(거래량↓, 가격↓)에 진입한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앞으로 지역 주택시장은 부동산 안정화 정책, 주요 구매 계층 증가세 둔화 등으로 수요가 약화하는 가운데 신규 공급 물량 확대로 공급 과잉 가능성이 상존한다"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8월 세종시 투기 과열 지구 지정과 10월 가계부채 종합 관리 대책 등으로 주택 대출 여건이 악화한 가운데, 다주택자 규제와 보유세 강화 우려 등으로 지방 주택 선호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주택 보급률이 이미 전국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을 보이는 가운데 향후 대전·충남의 신규 공급 물량은 최근 4년 평균보다 한층 더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지역의 주요 주택 구매 계층 증가세 둔화, 베이비붐 세대 은퇴 등으로 신규 주택 수요는 점차 약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최근 조정 양상을 나타내는 지역 주택 시장이 향후 인구 구조 변화, 공급 물량 확대 등의 수급과 정책 여건 아래에서 더 안정되도록 하려면 주택 실수요 기반 확충, 지역 주택 시장 모니터링 강화와 공급 물량 조절, 주택 시장 수요 구조 변화에 대한 적극 대응 등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