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이 바른정당과의 통합의 절차를 전당대회가 아닌 중앙위원회를 통해 의결하기로 결정했다.
국민의당은 3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당사에서 안철수 대표 주재로 당무위원회를 열고 당초 2월 4일로 예정됐던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결정할 전대 소집 취소에 대한 안건을 가결했다.

그렇지만 당헌을 개정해 전당대회를 통해서만 의결이 가능했던 합당을 전당원 투표로 결정할 수 있게 했고, 이후 중앙위가 추인함으로써 이를 확정하게 된다.
신용현 국민의당 수석대변인은 당무위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비 대납 의혹과 이중 당적 문제로 전대를 물리적으로 소집하기 어려워졌다"라면서 "전당원 투표와 추인을 위한 임시중앙위 개최가 의결됐다"라고 밝혔다.
때문에 전대일이던 2월 4일에는 당헌 개정을 위한 임시중앙위가 열리고 이후 전당원 투표가 진행되게 된다.
양당 통합전당대회까지 일정이 촉박한 만큼 다음 날인 5일부터 수일 간 전당원 투표가 열리는 방안이 유력하다.

안 대표는 "전당원 투표 결과를 추인하기 위한 두 번째 중앙위는 2월 11일에 열릴 것으로 예상한다"라며 "그렇게 하면 예정대로 2월 13일에 통합 전대가 가능해진다"라고 말했다.
국민의당은 지난 연말에도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추진하는 안 대표에 대한 재신임을 전당원 투표를 통해 확인한 바 있다.
당무위는 김중로 전대위원장이 전날인 30일 대표 당원 중 1천 명 이상이 통합반대파 신당인 민주평화당 발기인으로 이름을 올렸고 당원 상당수가 당비를 대납했다는 정황으로 인해 2월 4일에 전대를 치르기 어렵다며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요청을 해 이뤄졌다.
이날 전대 취소와 당헌 개정을 통한 전당원 투표로 통합 의결이라는 해결책을 마련했으나 꼼수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통합반대파는 전국 23곳에서 동시에 전대를 치르는 것이 의결 정족수를 쉽게 채우고 통합 반대표를 무력화하려는 술책이라고 비난했었다.
안 대표는 통합반대파의 꼼수 공세에 대해 "오늘 통합반대파에서 낸 개정 당규 무효 가처분 신청을 비롯해 당원 자격에 대한 많은 가처분 소송이 모두 기각됐다는 것은 우리의 진행에 대한 법적 하자가 전혀 없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이중 당적자 문제로 대표 당원 명부 확정이 불가능한 상황이기에 몇천 명의 대표 당원 대신 28만 당원 전체의 의사를 제대로 묻자는 취지를 갖게 됐다"라면서 "한국 정당 사상 처음으로 전당원 투표에 의한 통합이 결정되게 됐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