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충청 바닷가에 사는 주민, 뇌졸증 적다?
충청 바닷가에 사는 주민, 뇌졸증 적다?
  • [충청헤럴드=송준호 기자]
  • 승인 2018.02.01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남 보령·서천·당진 등과 전북 군산·경북 울진·경남 창원 지역 등 바닷가 인근 주민이 도시권의 주민보다 뇌졸증 발생이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일 충청헤럴드사가 연세대 허준(토목환경공학과)·김창수(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팀의 지난 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230개 시군구별 질병 유병률 패턴을 지도 형태로 분석한 결과에서 이같이 나타났다.

연세대 허준(토목환경공학과,왼쪽)·김창수(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팀의 지난 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230개 시군구별 질병 유병률 패턴을 지도 형태로 분석한 결과에서 충청서해안지역의 뇌졸증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충청헤럴드]
연세대 허준(토목환경공학과,왼쪽)·김창수(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팀의 지난 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230개 시군구별 질병 유병률 패턴을 지도 형태로 분석한 결과에서 충청 서해안 지역의 뇌졸증 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충청헤럴드]

◇연구 취지와 의미= 허·김 교수팀은 또 한국인에게 가장 흔한 만성질환으로 꼽히는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유병률을 '공간 자기상관도'라는 개념으로 분석했다. 공간 자기상관은 질병과 사는 지역 사이에 특정한 패턴이 존재하는지를 다른 지역에 견줘 비교해 보는 방식이다.

◇뇌졸증= 특히 뇌졸중은 서해안과 남해안, 동해안 지역과 인근 주변 유병률이 기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특징이 있다는 분석이 주목된다.

결과는 논문 중심의 학술지인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최근 호에서 공개됐다.

남 보령.서천.당진등과 전북군산시·경북 울진군·경남 창원시 지역등 바닷가 인근 주민이 도시권의 주민보다 뇌졸증 발생이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사진은 충남서천 춘장대해수욕장[사진=독자제공]
충남 보령·서천·당진 등과 전북 군산시·경북 울진군·경남 창원시 지역 등 바닷가 인근 주민이 도시권의 주민보다 뇌졸증 발생이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충남 서천 춘장대해수욕장 [사진=독자 제공]

허·김 연구팀은 "뇌졸중 발병률을 낮추는 바다 관련 요소가 이들 지역에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설명했다.

◇고혈압= 이 결과 고혈압은 수도권과 부산 등의 대도시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유병률이 낮았으나, 이들 대도시 지역을 벗어나 내륙 지방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고혈압 유병률이 높은 지역이 이어졌다.

허·김 교수팀은 "대도시를 벗어난 내륙 지역은 고령화와 함께 인구밀도가 낮을수록 고혈압 유병률이 높고, 경제활동 비율이 높을수록 고혈압 유병률이 낮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라고 설명했다.

◇당뇨병= 당뇨병의 경우도 고혈압과 비슷한 지역별 유병률 패턴이 확인됐다.

당뇨병 유병률이 대도시 지역 비교적 낮았지만, 도시화와 거리가 먼 지역일수록 상대적으로 당뇨병 유병률이 높았다. 이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수입과 낮은 교육 수준 등이 당뇨병 유병률을 높인다는 기존 분석과 다르지 않은 것으로 연구팀은 해석했다.

하지만 대도시 지역임에도 부산 강서구와 대구 중구는 다른 지역과 달리 고혈압과 당뇨병 모두 유병률이 모두 높은 지역으로 꼽혔다.

연구팀은 "두 지역은 주변 지역과 차별되는 특정 요소가 고혈압과 당뇨병 발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라면서 "두 지역만의 공통된 요소와 주변 지역들과 차별되는 요소를 분석한다면 특정한 발병 원인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 보령.서천.당진등과 전북군산시·경북 울진군·경남 창원시 지역등 바닷가 인근 주민이 도시권의 주민보다 뇌졸증 발생이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사진은 충남 대천해수욕장[사진=독자제공]
충남 보령·서천·당진 등과 전북 군산시·경북 울진군·경남 창원시 지역 등 바닷가 인근 주민이 도시권의 주민보다 뇌졸증 발생이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충남 대천해수욕장 [사진=독자 제공]

마찬가지로 뇌졸중도 지역의 도시화, 지역의 빈곤도, 교육 수준 등에 따라 뇌졸중 유병률에 차이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되는 건 도시화 수준이 낮은 충남 보령시, 전북 군산시, 경북 울진군, 경남 창원시 등 특정 해안가 지역의 뇌졸중 유병률이 비슷한 여건의 주변 지역보다 낮다는 점이다.

이는 뇌졸중 발병률을 낮추는 바다 관련 요소가 이들 지역에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반면 서울 강북구와 금천구는 주변 지역의 낮은 뇌졸중 유병률과 달리 상대적으로 높은 뇌졸중 유병률을 보이는 지역으로 꼽혔다.

허준 교수는 "뇌졸중의 경우 유병률이 낮게 나타난 지역이 모두 해안가라는 지역적 요소를 고려한다면, 뇌졸중의 발병을 억제하는 요인을 규명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향후 질병의 발병 원인을 분석하는 데 있어 이런 지역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