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대덕특구 '한국판 뉴딜' 메카로 재도약 나선다
대덕특구 '한국판 뉴딜' 메카로 재도약 나선다
  • 박정하 기자
  • 승인 2021.05.03 1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기정통부,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 확정
대전시, 지역주도 성장모델 구축 본격화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 [자료 대전시청 제공]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 [자료 대전시청 제공]

[충청헤럴드 박정하 기자] '과학메카' 대전 대덕특구가 '한국판 뉴딜'의 메카로 재도약한다.

지난달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과학기술관계장관 회의에서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을 확정하면서다.

과기정통부와 대전시는 대덕특구를 세계적 융합연구·창의 인재의 허브이자, 규제에서 자유로운 기술창업 전진기지로 조성할 계획으로, 스마트 인프라와 교통·에너지 혁신을 통한 과학문화 기반 친환경 스마트 도시로 탈바꿈해 국가 혁신성장과 신산업의 중심지로 성장시킬 방침이다.

2023년 출범 50주년을 맞이한 대덕특구는 그동안 우수한 연구성과와 기술사업화 등을 통해 국가 경제성장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디지털 전환을 선도해 가기에는 혁신생태계와 공간적인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대전시, 대학, 연구기관, 기업, 시민 등 특구 구성원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고 한국판 뉴딜을 실현하는 국가 중추기관으로서 대덕특구를 재창조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지난해부터 마련해 왔다.

이번에 확정된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개척하는 세계적 혁신클러스터 조성’을 비전으로, 연구·인재, 사업화·창업, 기업·산업, 도시·인프라의 4대 전략분야 8개 실행계획을 마련해 추진된다.

대덕특구 재창조 8개 실행계획. [자료 대전시청 제공]
대덕특구 재창조 8개 실행계획. [자료 대전시청 제공]

먼저, 시는 지역사회 중심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대덕특구 재창조 거버넌스(가칭대덕특구 글로벌혁신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를 운영하고, 국정 과제화 등 실행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대덕특구 재창조 붐 조성을 위해 지난 2019년부터 추진 중인 지역 중심의 선도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재창조 종합계획을 지역의 관점으로 재구성하고 다양한 의견수렴과 공감대를 형성해 우선 추진사업을 정하기로 했다.

구체적 실행방안 모색을 위한 대덕특구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로 구성된 총괄기획, 재도개선, 공간구성 분야별 워킹그룹도 운영한다.

허태정 시장은 “대덕특구가 지난 50년간 국가 중심으로 추진됐지만, 앞으로 50년은 대전시가 혁신성장을 이끄는 지역주도 국가성장의 선도 모델을 만들겠다” 며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지역혁신의 역량 결집하고 범 정부차원의 적극적 협업을 만들어 내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