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단체 찾아 '젊은층' 공략 활동 재개
[충청헤럴드 박정하 기자] 지난 4·7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움직임을 자제하던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한 달여 만에 다시 기지개를 켰다.
이 전 대표는 4일 중소기업중앙회와 한국경영자총협회를 방문해 재계가 요청한 규제개혁법 우선 처리와 청년들의 일자리 확대를 촉구하면서 공식 행보를 재개했다.
이 같은 행보는 문재인 정부의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많은 노력에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청년 고용이 여전히 힘든 점을 감안한 것이다.
그는 중소기업중앙회를 찾아 "어려운 환경에서도 꿋꿋하게 한국경제의 중추 역할을 하고 있는 중소기업인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청년고용을 부탁드리려고 왔다. 중소기업들이 경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통크게 청년들을 많이 채용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당과 정부는 기업에 필요한 인재를 공급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특별직업교육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기업이 투자하는 직업교육에도 대대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도 발혔다.
또 "청년직업교육은 추경을 해서라도 재원을 확보해, 청년고용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2배로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이 올해 신년회에서 제안한 청년 PPP(근로자 급여보호프로그램) 제도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PPP제도는 중소기업이 고용을 유지하고 대출금액의 일정 비율을 급여에 사용하는 등 정해진 기준을 충족할 경우, 채무상환을 감면해주는 제도다.
이 전 대표는 이날 한국경영자총협회도 방문해 청년 채용 확대를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들의 시름과 고통이 크다"며 "최근 기업의 채용방식이 수시채용으로 바뀌면서 청년들의 정보 접근성이 양극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과 정부는 기업에게 필요한 인재를 공급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특별직업교육 프로그램을 가동해 기업이 투자하는 직업교육에도 대대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청년직업교육은 추경을 해서라도 재원을 확보하고, 기업들의 신규 채용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고용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2배로 확대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또 "민간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규제개혁도 필요하다"며 "규제개혁 법안 중 경제계에서 통과 요청한 법안부터 우선 추진하고, 장기적인 인재육성교육시스템 구축에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