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초점] "대청호, 충주호 이름이 왜"... 충청도끼리 싸우는 명칭 논란
[초점] "대청호, 충주호 이름이 왜"... 충청도끼리 싸우는 명칭 논란
  • 박상민 기자
  • 승인 2018.02.04 20: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인의 젖줄인 대청호와 중부 내륙의 충주호가 이름 때문에 시끌시끌 하다.

충청헤럴드가 최근 대청호, 충주호의 이름을 놓고 불거진 문제를 집중 취재·분석한 결과 자칫하면 충청권 시·도광역단체 간, 시·군 기초단체 간 '대청호·충주호, 대청댐·충주댐'의 이름을 놓고 한 판 벌일 태세들이다.

충청인의 젖줄인 대청호와 중부 내륙 의 충주호와 대청호가 이름때문에 시끄럽다.사진은 아침이 밝아오는 아름다운 충주호와 충주댐[사진=포토갤러리와 충주문화관광홍보켑처]
충청인의 젖줄인 대청호와 중부 내륙의 충주호가 이름 때문에 시끄럽다. 밝아오는 아침의 아름다운 충주호와 충주댐 [사진=포토갤러리와 충주문화관광홍보 캡처]

◇대청호·충주호 이름 싸움의 배경= 국토교통부산하 국토지리정보원(약칭 국지정원)이 최근 현재 사용 중인 대청호와 충주호가 정부의 공식 지명이 아니라고 밝히면서 생겼다.

즉, 국가지명위 의결이 안 된 전국 산·호수·댐·섬·고개·마을에 대해 20만 곳을 대상으로 지난 2015년부터 지명과 인공시설물 정비에 나섰기 때문이다.

지정원은 '대청호'와 '충주호'라는 이름이 국가지명위원회 의결을 받지 않았으며, 공식적으로는 두 호수 모두 '지명 미고시 수역'이라고 밝혔다.

대청호의 얼음 축제[사진=연합뉴스]
대청호의 얼음 축제 [사진=연합뉴스]

국가기본도에는 대청호와 충주호로 이름이 표시돼있지만, 공식 절차를 밟지 않은 지명 미고시 댐과 호수에 포함돼 이번 정비 대상이라는 것이다.

국토지리정보원 관계자는 "국가지명위원회의 의결과 고시를 거쳐야 공식 지명이 되는데, 전국의 댐과 호수 중에는 이런 절차를 밟은 곳이 한 곳도 없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 차원의 지명 정비는 1961년 8만 건이 처음 이뤄지고 1990년대 2만 건이 추가됐지만, 국토개발 등으로 계속 수요가 발생한다"라며 "대청호와 충주호는 이번에도 그런 차원에서 3번째 정비가 이뤄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1980년 건설된 '대청호'는 대전과 청주의 첫 글자를 딴 이름이라는 주장과 충남·북의 경계를 이루던 대덕군과 청원군의 첫 글자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전직 대통령들의 댐 기념석이나 식수등에서 대전.청주의 첫 글자를 딴 것이라는 의미가 곳곳에서 드러났다.[사진=대전시대덕군 홍보.천재교육]
1980년 건설된 '대청호'는 대전과 청주의 첫 글자를 딴 이름이라는 주장과 충남·북의 경계를 이루던 대덕군과 청원군의 첫 글자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전직 대통령들의 댐 기념석이나 식수 등에서 대전·청주의 첫 글자를 딴 것이라는 의미가 곳곳에서 드러났다. [사진=대전시 대덕군 홍보. 천재교육]

국지정원은 지난 2016년 충청권 지명 정비에 착수해 해당 지역의 의견을 묻고 있는 중이다.

◇대청호 이름 논란= 지난 1980년 건설된 대청댐은 대전시 동구, 대덕구와 충북 청주시, 옥천·보은군에 걸쳐 있어 충청의 젖줄로 통한다.

대전시는 지난해 10월 지명위원회를 열어 종전대로 '대청호'라는 지명 사용을 의결한 상태다.

대전시의 한관계자는 "대청댐, 대청호는 대전과 청주의 첫글자를 딴 이름"이며 "지난해 대전시는 종전대로 대청호로 지명을 쓰기로했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옥천 지역의 시민단체 등에서는 호수 전체 유역의 30.4%를 옥천이 점한 만큼 '옥천호'로 부르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현행법은 2곳 이상의 자치단체에 걸친 지명을 결정할 때는 반드시 상대 지역의 의견을 듣도록 했다.

때문에 옥천군이 어떤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명칭 시비가 표면화될 가능성도 있다.

옥천군 관계자는 "지난 달 24일 주민 대표, 향토사학자, 지역 언론인 등이 모여 간담회를 열었지만, 결론을 맺지 못했다"라며 "더 많은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를 마련해 입장을 내놓겠다"라고 말했다.

충주호내 별모양의 인공 수초섬[사진=연합뉴스]
충주호 내 별모양의 인공 수초섬 [사진=연합뉴스]

◇충주호 지명 논란= 충주호의 호수 명칭을 둘러싼 충북 지역 시·군 갈등은 더 치열하다. 지난 1985년 충주댐 건설로 탄생한 충주호는 국내 최대 콘크리트 중력식댐으로 수몰지역이 충주·제천·단양 3개 시·군에 걸쳐 97㎢에 이른다.

국가 기본도에는 '충주호'로 표시돼있지만, 충주시는 기존대로 충주호를 그대로 쓰자는 주장이다.

그러나 제천시는 댐 건설 당시 수몰 면적이 가장 넓고, 담수 면적도 최대인 청풍면의 청풍명월 이미지를 함축해 '청풍호'로 부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제천시는 1998년 충북도 지명위원회에 정식으로 명칭 변경을 신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에도 뜻을 굽히지 않고 제천 지역 호수를 '청풍호'라고 부르면서 각종 행사나 홍보 등에 활용하는 중이다.

4계절 아름다운 충주호[사진=한국관광공사]
4계절 아름다운 충주호 [사진=한국관광공사]

단양군에서도 지난해 새로 만든 수중보 일대 남한강 유역 호수를 '단양호'로 명명한 뒤 수상 레포츠 시설을 다채롭게 갖추는 등 명칭을 둘러싼 논쟁이 되풀이돼왔다.

청풍호 명칭 사용을 요구하는 제천사랑·청풍호사랑위원회 장한성 위원장은 "이번에야말로 청풍호로 이름을 정할 기회가 왔다"라며 "조만간 시민들의 역량을 모으는 자리를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

◇국지정원의 입장= 국가명위원회에 상정하려면 시·군·구 지명위원회와 시·도 지명위원회를 먼저 거쳐야 한다. 2개 시·군이 관련된 곳은 두 지역의 합의가 있어야 가능하다는 얘기다.

국토지리정보원 강기희 주무관은 "지명 고시는 법적으로 강제된 사항이 아니어서 지역간 갈등이 있는 곳은 이번 정비에서 빠질 수 있다"라며 "해당 지역 주민들이 현명한 결론을 내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관련 법규와 조항은= 지난 2013년 3월 개정된 공간정보관리법은 지방자치법이나 다른 법령에서 정하지 않은 지명과 해양지명의 제정·변경 등은 국토교통부 국가지명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하고 국토교통부 장관과 해양수산부 장관이 결정 내용을 고시하도록 했다.

지난 2013년 3월 개정된 공간정보관리법[사진=KBS뉴스 켑쳐]
지난 2013년 3월 개정된 공간정보관리법 [사진=KBS뉴스 캡쳐]

시·군·구 지명은 해당 시·군·구 지명위와 시·도 지명위 심의·의결을 거쳐 국가지명위가 심의·의결한다. 그러나 두 곳 이상의 시·군·구에 걸치는 지명은 해당 시·도 지명위가 시장·군수·구청장의 의견을 들은 뒤 심의·의결해 보고하면 국가지명위가 심의·의결하도록 했다.
때문에 대청댐이나 충주댐 인공호수 이름을 고시하려면 '공간정보관리법' 규정에 따라 관련 지자체의 의견을 들은 광역 지명위가 심의·의결해 국가지명위에 보고하게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