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용장치 품목도 전 연령층 고려해야"
![정부의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품목이 적은데다 전 연령층이 활용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2021 장애인보조기기 교부사업 품목 정보 안내서 표지다. [충청헤럴드 권성하 기자]](/news/photo/202105/21572_25900_306.jpg)
[충청헤럴드 권성하 기자] 정부가 추진하는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14일 자료를 통해 "보건복지부의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은 건강보험대상자 외에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 장애인들이 대부분 신청하는 사업인데 일부 품목은 장애 유형이나 특성별로 개인에게 적합한 기기를 선택할 수 없는 구조"라며 "특히 '대화용장치' 품목들은 전 연령층 장애인이 사용할 수 없는 수준이어서 지원체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장애인총연맹은 "일반적으로 '대화용장치' 같은 의사소통 보조기기는 고가의 제품인데 저예산(60만원/1인)에 맞춰 기기를 제작해 납품하고 있다"며 "현재 '대화용장치' 품목으로 한뼘의사소통패키지 등 총 3가지 품목을 제공하는데 학령기 장애인에게 필요한 학습·교육적인 경향이 크고 원활한 사용을 돕는 주변 보조기기마저 없어 전 연령층이 이용하기에 접근성이 현저히 낮다"고 밝혔다.
이어 "장애인·노인 등을 위한 보조기기 지원 및 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보조기기법)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등이 보조기기를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활용촉진, 서비스 제공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고 돼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의 보조기기 지원체계 관리 책임을 명시하고 있는 만큼 개선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값비싼 비용(55.0%)과 물품에 대한 정보 부족(19.4%)으로 장애인들은 보조기기 구매조차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장애인들이 보조기기를 구매할 때 보건복지부와 과기부 등 공공기관에서 전액 또는 일부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여러 지원사업 중에서 보조기기 교부사업(11.0%)은 국민건강보험·의료급여 보장구 급여지원(70.7%)와 함께 장애인들이 가장 많이 지원받는 사업으로 꼽힌다.
장애인총연맹은 "장애인실태조사(2017)에서는 장애인 보조기기가 필요한데 구매하지 않은 주된 이유로 경제적 비용 부담 때문인 경우가 55.0%, 적합한 장애인 보조기기가 무엇인지 모른다는 답변이 19.4%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며 "구매 전 체험(단기 대여)과정이 존재하지만, 장애당사자의 선택사항이라 필수적으로 체험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각 시·도 보조기기 센터에서 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연초 1회 혹은 일부 지자체는 상하반기 2회 대면 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지자체 공무원들의 잦은 부서이동으로 인수인계하더라도 교부사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며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제작한 '2008 보조기구 교부사업 상담 매뉴얼' 이후 개정된 공통 상담 매뉴얼조차 없어 대상자 정보제공 시 발빠른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장애인총연맹은 장애인의 일상생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15개 장애인단체가 연합해 설립한 협의체인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을 통해 제도 개선 촉구한 상태다. 보건복지부 장애인자립기반과에 마이토키스마트, With Talk 등 장애인 전연령층이 이용할 수 있는 보조기기 품목을 최대 4개로 확대하고, 예산 마련(지원기준 금액 상향)을 요구했다. 또 장애인 보조기기 구매 전 체험 과정을 선택사항이 아닌 필수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자체 안내 공문 발송 및 모니터링, 보조기기 교육(연 1회), 지자체 공무원들이 정보제공 시 참고할 수 있는 보조기기 교부사업 공통 상담 매뉴얼을 최신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