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분별 주차 등 해결 골머리

[충청헤럴드 박정하 기자] 대전시가 보도 위에 무분별하게 방치된 전동킥보드 주차관리를 위해 칼을 빼들 전망이다.
26일 대전시에 따르면 전동킥보드는 현재 민간업체서 운영하고 있다. 대전지역의 경우 총 9개 민간업체에서 4500대를 운영하고 있다. 전동킥보드가 유행을 타면서 작년말 1800대에서 올해 5월 현재 2700대가 급증한 셈이다.
이처럼 전동킥보드가 인기를 끌면서 보도 위에 아무렇게나 세워져 있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특히 보행자들의 통행을 가로막는 것은 물론, 자칫 대형 안전사고까지 발생할 우려가 크다.
전동킥보드는 도로교통법상 '차량'으로 분류된다. 보도 위에 방치된 전동킥보드는 견인 대상이다.
문제는 민간업체들이 거리에 방치하다시피 주차된 전동킥보드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각종 불편 민원 등이 시에 쏟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전동킥보드 주차 관리는 시의 고유 업무가 아니다. 민간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관리 또한 민간이 주도적으로 나서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시민 안전'을 위해 주차민원 업무를 떠안게 됐다는 게 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시 담당부서 관계자는 "공동신고센터를 만들어 방치된 전동킥보드가 있다는 신고가 접수되면 가까운 곳에 있는 업체가 먼저 수거하거나 제대로 주차를 해놓는 방법도 있다"며 "업체별로 운영하는 전동킥보드가 아니더라도 협력하는 차원에서 공동으로 주차관리를 해결하면 좋을 것 같다"고 제안했다.
일각에선 지자체와 민간업체가 함께 예산을 부담해 전동킥보드 전용주차장을 만드는 것도 해결 방안 중 하나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이는 전통킥보드 운영 수익은 민간에서 챙기고, 민원 해결을 위해 시민혈세를 투입해야 한다는 면에서 또다른 논란이 제기될 여지도 있다.
대전의 한 시민은 "전동킥보드가 보도 위에 아무렇게나 세워져 있는 경우가 많아 위험할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라며 "당연히 시에서 운영하는 줄 알고 공무원 탓만 했는데 민간에서 운영하고 있다면 당연히 관리도 민간에서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문제를 제기했다.
국회에서도 전동킥보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섰다.
홍기원 의원(더불어민주당)과 박성민 의원(국민의힘) 등이 개인형 이동수단의 관리 등에 대한 법률안을 대표발의해 전동킥보드 주차 및 견인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이 나올 전망이다.
한편 대전시는 27일 전동킥보드를 운영하는 9개 민간업체와 주차·견인관리에 대한 대책회의를 통해 해결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