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이명박(MB) 정부 시절 청와대에 건네진 국가정보원의 새로운 불법 자금을 추가로 포착, 수사 중이다.
이 자금이 2008년 18대 총선전 '친이계'와 '친박계' 후보들의 지지율 확인을 위한 여론조사에 사용됐는지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검찰이 이명박 정부 청와대에서 이뤄진 국가정보원 돈 불법 상납 의혹과 관련해 6일 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의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장다사로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의 사무실에 대해서도 함께 압수수색에 나섰다.사진은 2012년 12월 4월 이명박 전 대통령과 박재완 당시 기획재정부 장관이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입장하며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2/2189_2686_3139.jpg)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송경호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 박재완 전 기획재정부장관(현 성균관대 교수·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의 대학 연구실과 재단 사무실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통해 문서자료와 컴퓨터 저장장치 전산파일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장다사로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의 사무실도 함께 압수수색을 했다.
검찰은 이어 오후에 박 전 장관과 장 전 기획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국정원 자금을 수수한 경위 등을 캐물었다.
검찰이 MB 정부 초기인 2008년 박 전 장관과 장 전 기획관이 각각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과 정무비서관으로 재직할 때 국정원에서 불법 자금을 수수한 정황을 포착했기 때문이다.
현재는 한반도 선진화재단 이사장인 박 전 장관은 MB 정부에서 정무수석, 국정기획수석, 고용노동부장관을 역임하고 마지막 기재부장관을 지냈다.
![이명박 정부 청와대에서 이뤄진 국가정보원 돈 불법 상납 의혹과 관련해 박재완 청와대 전 정무수석을 수사하는 검찰 수사관들이 6일 오후 서울 중구 한반도선진화재단에서 압수수색을 마친 후 압수품을 옮기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2/2189_2687_337.jpg)
이 전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전 의원의 보좌진을 지낸 장 전 기획관 역시 MB 정부에서 정무비서관과 민정비서관을 지냈고, 2011년 'MB 집사'로 불렸던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이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뒤를 이어받았다. 장 전 기획관은 최근까지도 MB를 보좌하며 참모 역할을 하고 있다.
검찰은 두 사람이 거래에 관여한 국정원 돈이 기존에 드러난 국정원 상납 자금과는 별개의 돈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검찰은 이 국정원 자금이 2008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친이계와 친박계 후보들의 지지율 분석을 위한 여론조사용으로 수차례 사용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용처를 확인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서도 국정원 특활비 5억 원으로 '진박(진실한 친박) 감별' 여론조사를 한 사실이 드러나 이에 관여한 현기환 전 정무수석과 후임 정무수석인 김재원 자유한국당 의원이 불구속 기소된 바 있다.
앞서 검찰은 김백준 전 기획관이 수수에 관여한 국정원 자금이 총 4억 원이라고 파악했다. 김 전 기획관은 검찰 조사에서 국정원 돈을 받아 보관하다가 MB의 지시가 있을 때 청와대 수석과 장관들에게 나눠줬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2012년 5월 당시 박재완 기재부장관(오른쪽)과 장다사로 대통령실 총무기획관이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앞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2/2189_2689_357.jpg)
MB 측근이었던 김희중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은 2011년 김윤옥 여사 보좌진에게 10만 달러(약 1억 원 상당)를 건넸다고 검찰에서 진술했다.
검찰은 또 2011년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이 '민간인 사찰 입막음'과 관련해 국정원에서 5천만 원을 전달받은 사실도 파악했다. 현재까지 드러난 국정원 돈 규모만 5억 5천만 원인 셈이다.
검찰의 압수수색으로 MB 정부 국정원이 청와대에 건넨 불법 자금 규모는 기존에 드러난 액수에서 추가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박 전 장관과 장 전 기획관이 관여한 자금 규모는 억대인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 자금 수수 과정에서도 MB의 지시가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날 경우 MB 혐의액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앞서 검찰은 국정원 돈 불법 수수와 관련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수수 및 국고손실 혐의로 전날 김백준 전 기획관을 구속기소하면서 MB '주범'으로서 불법 자금 수수를 지시했다고 공소장에 적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