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속보] 대전시, 전동킥보드 안전관리 시민의견 담는다
[속보] 대전시, 전동킥보드 안전관리 시민의견 담는다
  • 박정하 기자
  • 승인 2021.06.01 08: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시소'서 1일부터 한 달간 온라인 공론의 장 열어
대전시가 주차 등 무분별하게 관리되던 전동킥보드 안전을 위해 시민들 의견을 반영한 대책마련에 나서기로 하는 등 안전관리에 적극 나서고 있다. [자료 대전시청 제공]

[충청헤럴드 박정하 기자]<속보> 전동킥보드는 민간 대여업체가 운영하면서 민원 등 각종 시민 불편 사항은 대전시에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시에서 시민의견을 반영한 대책 마련에 나서 주목된다. 

전동킥보드는 민간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주차관리 등 또한 민간이 나서야 함에도 '시민 안전'을 위해 시에서 떠맡아왔다. <본보 5월 26일 보도>

이에 시는 정책제안 플랫폼 '대전시소'에서 '전동 킥보드 공유 서비스,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까요?'라는 주제로 1일부터 한달 간 온라인 공론장을 열어 시민의견을 듣는다고 밝혔다.

그동안 보도위에 무분별하게 방치된 전동킥보드 주차관리로 보행자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등 시민들의 민원이 수없이 쏟아졌다. 

시는 관리주체가 아니면서도 시민안전을 위해 민원처리를 하는 등 골머리를 앓아 오다가, 지난달 27일 실질적인 관리주체인 전동킥보드 대여업체들, 자치구와 함께 안전대책 마련을 위해 간담회를 가졌다.

시는 이를 계기로 시민들의 의견을 듣고 대책에 반영하기로 했다. 

대전시소에 올라온 '인도, 차도 불문하고 무법질주하는 전동킥보드에 대한 제재가 필요합니다'라는 시민제안이 23명의 시민 공감을 받았고, 시의 시민토론 의제 기획·선정 과정을 거쳐 여덟 번째 공론화 의제로 결정됐다.

'전동 킥보드 공유 서비스'는 이용자가 스마트폰 앱으로 전동 킥보드를 빌려서 사용한 후 목적지 인근의 어디서든 반납 가능한 민간 대여 서비스로, 대전지역에는 지난 5월 말 현재 9개 운영업체에서 4700여 대를 운영중에 있다.

저렴한 이용료와 이동 편리성 때문에 인기를 끌고 있지만, 무분별한 주차와 안전사고 급증으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시민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지용한 시민공동체국장은 "전동 킥보드가 이동의 편리함은 크지만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만큼 법·제도의 개선과 이용자들의 성숙한 주행 문화 등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이번 공론장을 통해 시민이 공감하는 현실적인 대안이 발굴될 수 있도록 시민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선희 교통건설국장은 "지난 5월 13일, 도로교통법 개정 시행으로 전동 킥보드 안전규정이 강화됐다"며 "시민의 안전을 보장하는 동시에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대책 마련과 실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