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대전시, 도시재생 예측모델로 빅데이터 정책 지원
대전시, 도시재생 예측모델로 빅데이터 정책 지원
  • 박정하 기자
  • 승인 2021.06.01 08: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빅데이터-AI 알고리즘을 활용
자치단체 최초 서비스 제공
대전시청 전경.

[충청헤럴드 박정하 기자] 대전시가 자치단체 가운에 처음으로 빅데이터-AI 알고리즘을 활용한 도시재생 예측모델을 개발 완료하고 1일부터 '빅데이터 정책 지원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도시재생 예측모델은 시 전지역을 9026개의 분석격자로 나누고, 인구, 경제, 주택건축 등 6개 지수별로 쇠퇴 정도를 1~10등급으로 나눴다. 

이는 공직자들이 도시 쇠퇴 정도를 한눈에 파악해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시스템이다.

서비스가 정착되면 데이터 기반의 도시재생 지수화와 진단을 통해 도시재생 정책수립관련 이해관계자와 지역주민에게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예측모델은 범죄·화재 등 안전사고와 각종 질병에 대해 사전에 위험요소를 예측해 선제적으로 예방함은 물론, 사회현안 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안별 효과성을 비교분석 할 수 있는 기능도 갖췄다. 

시는 '대전형 데이터 허브 기반 조성'을 위해 2018년부터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을 핵심 사업으로 선정해 추진해오고 있다. 지난 2019년 복지분야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도시, 안전, 환경, 교통 등 5개 분야 빅데이터 구축을 완료한 상태다. 

특히 2020년 과기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국비 10억원을 확보하는 등 사업에 탄력을 받게 되면서 당초 2026년 예정이었던 11개 분야 빅데이터 구축을 2022년까지 조기 마무리 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도시재생 예측모델을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정책지원 플랫폼은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행정 구현을 앞당기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시스템과 데이터 활용체계, 인프라 등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민간기업 및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